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미술교육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형식교육 밖 미술교육 학습자의 만족도 연구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Non-formal Art Learning

  • 339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의 2020년과 2021년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자료를 사용해 형식교육 밖 미술교육 학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학교 밖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미한 상황으로 학습자의 관점에서 미술교육 경험과 만족도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교육 방향 설정 및 실무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지난 1년간 미술교육에 참여한 답변자들은 자신의 미술교육 경험에 상당히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답변자의 직업군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관리자 및 전문가 종사자, 사무 종사자와 같이 사무직 ‘화이트칼라’ 집단은 미술교육 경험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이나 연령, 학력, 혼인상태, 월평균 총 가구소득 등의 기타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었다. 초고령화 사회를 앞두고 문화예술교육은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과 연계해 더욱 필요해지고 있으며, 형식교육 밖 미술교육 또한 활성화될 전망이다. 이에 발맞춰 형식교육 밖 미술교육 현장과 수요자를 다양한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rt learners outside formal education an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satisfaction using the “2020, 2021 Na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y Survey.” Because few research on art education and training outside of school has been done, we need to look at art learners' points of view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direction and practice. We find that art learners were quite satisfied with their art learning experiences. Also we find that the “white collar” group of office workers, such as managers, professional workers, and office work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art learning experience. Ahead of the super-aged society, culture and arts education are becoming more necessary in connection with the overall quality of life improvement. For art education outside of effective formal education,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field and consumers in various aspec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