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고3 담임교사 진로 진학 지도 교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Career Guidance Education Experience for Senior High School Homeroom Teachers: Based on the COVID-19 situation

  • 28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7호.jpg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고3 담임교사들의 진로 진학 지도 교육 경험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에서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고3 담임교사들의 진로 진학 지도의 어려움과 극복전략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 Smith 외(2009)가 제시한 해석현상학적 분석으로 접근하였다. 해석현상학적 분석은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기술하는 현상학적 연구 관행을 뛰어넘어 연구자의 적극적 해석을 통해 참여자들의 경험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연구접근이다. 자료 분석은 Smith 외(2009)가 제시한 6단계 절차에 의해 분석하였다. 자료는 연구참여자들과 1대1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23개의 하위주제와 7개의 상위주제로 도출되었다. 7개의 상위주제는 학생과 학생, 교사와의 라포 형성의 경색, 교육, 학급 운영 외 방역 책임 부담, 위기 속에서도 주체적 교육역량 배양, 제한된 시간 속에서 상황 탄력적 진학 지도, 전화, 인터넷을 매개로 한 학부모들과의 상시 소통 채널 구축, 정보 공유와 상호 소통으로 위기관리 자원 강화, 교사로서의 소명감은 위기 탈출의 근원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고3 담임교사들의 위기 대응 리더십, 학교 위기관리 자원에 대한 학부모와 협력 체계 구성, 교사들의 정보 공유와 소통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를 했고 위기에 강한 학교 만들기에 대해 제언했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experience of high school homeroom teachers' career guidanc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In this study, the difficulties and overcoming strategies of high school homeroom teachers' career guidance were analyzed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For this purpose,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suggested by Smith et al. (2009) was approached. Interpre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s a research approach that goes beyon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practice of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allows researchers to understand participants' experiences more deeply and form a consensus through active interpretation. The data analysis was analyzed by the six-step procedure presented by Smith et al. (2009). The data was constructed by conducting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from 23 sub-themes and 7 upper themes. The 7 upper themes are: Crisis in the formation of rappor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urden of responsibility for quarantine other than education and class operation; cultivation of independent educational capabilities even in crisis; Establishing a regular communication channel with students, strengthening crisis management resources through information sharing and mutual communication, and a sense of calling as teachers appeared to be the sources of escape from the crisi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crisis response leadership of high school senior homeroom teachers, the formation of a cooperative system with parents for school crisis management resources, and ways to promote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and suggested the creation of a school that is resistant to crisi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