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EFL 학습자들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플랫폼 활용 교양 영어 쓰기 교수⋅학습 방안
Use of AI-based Platforms in Teaching and Learning of General English Writing for College EFL Learner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3권 7호
-
2023.04663 - 683 (21 pages)
-
DOI : 10.22251/jlcci.2023.23.7.663
- 570

목적 본 연구는 대학 EFL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교수⋅학습 과정에 AI 기반 플랫폼들을 활용하도록 한 후 이들의 영어 쓰기의 특징과 AI 기반 플랫폼 활용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22년 2학기에 C대학교 교양필수영어 교과목 수강생 20명을 대상으로 영어 쓰기 과정에 AI 기반 영작문 채점/영문법 체크 플랫폼 및 기계번역 플랫폼을 활용토록 하였고, 3주차(사전) 및 15주차(사후)에 실시된 영작문 초안을 학습자 코퍼스로 구축하였다. 또한 AI 기반 플랫폼 활용 영어 쓰기 학습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 조사를 위해 설문조사와 성찰문 작성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Text Inspector와 Jamovi 2.3.21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사전⋅사후 학습자 영작문 코퍼스 분석 결과 영어 쓰기에 있어서 어휘 다양성 측면에서만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나머지 문장 수 및 문장 길이 등의 양적 향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학습자들은 AI 기반 플랫폼 활용 영어 쓰기 교수⋅학습의 효용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영어 사용 부담감 감소에 도움이 많이 되었다고 보고하여 AI 기반 플랫폼 활용이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AI 플랫폼 활용의 효용성과 영어 쓰기 교수⋅학습에의 적절한 사용을 위해 학습자들을 위한 지도와 교수자의 인식개선 및 교수능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writing and learners' perception of the use of AI-based platforms after having university EFL learners use AI-based platforms in the English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Methods In the 2nd semester of 2022, AI-based English writing scoring/English grammar check platform and machine translation platform were used for the English writing process for 20 students in a general English required course in C university. The English composition drafts in 3rd week (pre-test) and 15th week(post-test) were constructed as a learner corpus and were analyzed by Text Inspector and Jamovi 2.3.21. In addition, a survey and reflection writings were used to investigate learners' perceptions of learning English writing using AI-based platform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pus of pre- and post-test,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shown only in terms of vocabulary diversity in English writing,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quantitative improvement such as the number of sentences and sentence length. In addition, learners were positively aware of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using AI-based platforms, and in particular, reported that it was very helpful in reducing the burden of using English,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ffective aspect of using AI-based platform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guidance for learners, improvement of instructors' awareness, and teaching ability are necessary for the effectiveness of using AI platform and its proper use in English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