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KCI등재
학술저널
초록
詞學史上, 雅俗之辨一直是文藝批評中重要的議題, 詞起於民間音樂之燕樂. 其內容亦基於男女愛情, 因此, 文人視爲詞是小道卑體, 但因詞體自身具音樂的效能與娛樂的功能, 文人亦對詞體有矛盾的心理狀態, 逐漸發生推尊詞體之意識. 唐末宋初, 雅詞的意思是相對於民間俗樂, 含有富貴和風流, 所以花間詞形式上有着民間詞所不具備的風流雅趣. 自北宋中葉以後, 文人詞創作已經表現出了較爲明顯的雅化意識和推尊詞體傾向. 這一時期的 詞人的觀念里, 雅不僅僅是針對俚俗而言, 其主要的則是浮艶. 万俟咏≪雅言≫初集分兩體, 曰雅詞, 曰側艶. 然後他說‘以側艶體無賴太深, 削去之’. 由此淸楚地表明雅詞所排斥的對象是艶詞. 到南宋雅詞的這一槪念得到進一步發展. 這就是曾慥起到的‘世所矜式’的社會作用. 又鮦陽居士本着‘樂與政通’, ‘發乎情, 止於禮義’的儒家傳統而提出‘騷雅’這一槪念, 要求文人詞創作發揚≪詩經≫優良文學傳統, 從而走向儒家的‘詩敎’論. 到張炎, 雅化觀念已明顯的擺脫了單純注重社會價値而不顧及詞原有特徵的簡單化傾向, 而是在充分考慮詞體特性的基礎上, 注重詞體社會作用, 以與儒家詩敎保持一致, 同時又强調詞體審美特性, 講究詞體的藝術規範.
목차
Ⅰ. 緖言
Ⅱ. 宋代雅詞論의 流變
Ⅲ. 結言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7)
- 古代汉语 ‘及・至’의 전치사·접속사 기능에 대한 의문
- 漢代 四言詩 初探
- 중국어 결과보어 ‘着(zhao)’의 허화성 유무에 대한 고찰
- 比․興 전통과 新詩 표현수법과의 관계 고찰
- 《朱子語類》 ‘述+了₁+ 賓 + 了₂’ 의 어법사적 의의
- 《彭祖》제 7-8간의 문자와 문장에 대한 고찰
- 최정희와 장아이링의 여성의식 비교 연구
- 船山詩學 체계 속 ‘興會’에 대한 一考
- 中國人 醫療觀光 誘致活性化 方案 硏究
- 伊尹 형상에 대한 고찰
- 論方苞与劉大櫆的古文理论
- 从汉语动植物成语的具象特点看汉民族的文化和思维方式
- 宋代 雅詞論 硏究
- “正始之音”辨正
- 韩·中文人关于山东登州咏史诗之比较硏究: 以中国明朝年间为中心
- 淸代 秧歌의 特性
- 당대 중국 <귀교교권권익보호법>의 역사적 배경 및 그 의의 연구
- 试论王蒙小说叙事角度的更迭及其艺术表现的内驱力
- 浅析韩中隐喻性惯用语投射的文化共性和差异
- 《論語》「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也」句 小考
- 《說苑》에 나타난 ‘然’ 고찰
- 현대 중국어 어기부사 ‘本來’ ‘原來’의 통사-의미기능 비교
- 一类特殊的“把”字句分析
- 노신과 기독교
- 중국인문과학 제57집 목차
- “白洋淀诗歌群落”, 그리고 린망(林莽)의 詩에 관한 小考
- <申屠澄>研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