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적으로 뜨겁다. 최근 들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들이 앞다투어 기업 ESG 경영 성과를 투자의 중요 기준으로 삼겠다고 발표하고, 여러 국가에서 ESG 공시의 의무화를 실시하는 등 이제 ESG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넘어 의무로 자리 잡게 되었다. ESG에 관한 관심은 자연스럽게 ESG 성과 평가에 관한 관심으로 이어진다. ESG 주요 평가사로는 국내 서스틴베스트, 한국ESG기준원, 해외 서스테이널리틱스, 무디스, MSCI, S&P Global, CDP, 레피니티브, 블룸버그, FTSE 등이 있다. 국내 평가사는 해외 평가사보다 국내 사정에 밝기 때문에 더 많은 비재무 정보를 바탕으로 ESG 평가가 가능하고, 특히 영문 지속가능보고서 및 사업보고서를 발간하지 않는 국내 기업을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평가사에 따라 국내 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평가 지표를 추가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기업을 평가할 때 더 적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글로벌 평가사는 국적과 상관 없이 평가가능한 모든 기업을 평가하기 때문에 국제 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국내 기업의 경우 초대기업만을 포함한다는 점,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관된 평가체계를 적용한다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 평가사 간 상관관계가 상당히 높은 신용평가와 달리 정성적 성격이 강한 비재무 지표를 중심으로 기업의 ESG 성과가 평가되는 만큼 평가사별로 ESG 평가체계가 다르고, 따라서 평가 점수 및 등급도 상이할 수 있다. 국내외에 많은 평가사가 존재하며, 평가사마다 평가 기준, 체계, 항목 등이 모두 다르고 평가 철학과 목적도 다르기 때문에 평가 점수 및 등급에 차이가 있는 것은 필연적이다. 그러나 너무 낮은 상관관계는 기업, 투자자, 연구자 모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며, ESG 성과에 대해 적절한 신호를 보내지 못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ESG 평가사들의 특성 및 차이를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특히 ESG 점수 간 차이가 ESG 평가기관 간 평가 범주, 측정, 가중치의 차이에 따른 것이라는 선행연구의 분석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기업을 대상으로 ESG 점수 간 상관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In response to increasing demand for sustainable management, adoptin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measures is now more important than ever. Firms now must disclose ESG performance to receive investment and meet the regulation making ESG disclosure mandatory in many countries and exchanges. With growing intertest in ESG and relating topics, evaluating firms’ ESG performance become necessary. Many regional and global ESG raters exist, focusing on different sets of firms. Regional ESG raters such as Sustinvest and Korea Institute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ustainability (KCGS) in Korea are more knowledgeable in domestic situations and Korea-specific characteristics, and in particular, they can evaluate companies without English ESG and business reports. However, regional raters mostly focus on domestic firms, making it difficult to compare to internatioanl companies. Global raters have an advantage in this regard, however, their coverages in Korea are restricted to very large global companies. Major global raters include Sustainalytics, Moody’s, MSCI, S&P Global, CDP, Refinitiv, Bloomberg, and FTSE. Unlike credit ratings, ESG evaluation is heterogenous across raters as a company’s ESG performance is assessed using non-financial indicators with strong qualitative characteristics. Divergence in ESG evaluation is inevitable due to difference in eveluation objective, standards, categories, measurement, etc. However, if ESG ratings diverge too much, it misleads the investors and researchers by sending confusing signals on ESG performanc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divergence of ESG rating of Korean firms, and by following previous research that decompse ESG rating divergence in scope, measurement, and weighting. …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외 ESG 평가체계 현황 및 평가 기준 비교
1. 해외 평가기관의 평가 기준 및 국내 기업 평가 현황
2. 국내 평가기관의 평가 기준 및 국내 기업 평가 현황
3. 기관별 평가 현황 비교
4. 소결
제3장 국내 기업 ESG 점수 상관관계
1. 기존 문헌과의 차별성
2. 데이터 및 기초 통계량
3. 평가사 간 상관관계
4. 기관별 평가 차이 원인 분석
5. 소결
제4장 결론
1. 연구 결과 요약
2.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