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초반 유럽연합의 공간 확장 속 프랑스와 독일 간 지정학적 갈등과 공존
The study on the geopolitical conflicts and coexistence between France and Germany in the course of the EU-Expansion during the early 21st century : Centering around analyzing the geopolitical strategies on the European continent of both countries
- 이용수 48

초록
본 논문은 금세기 초반 유럽연합의 공간 확장과 관련한 갈등을 프랑스와 독일의 대 유럽 지정학적 이해관계 간 비교분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양국의 지정학 전략과 이익 간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금세기 초반 유럽연합의 공간 확장과 관련하여, 먼저 프랑스는 기존 남부유럽 회원국의 정치경제적 통합을 더욱 강화하면서, 궁극적으로 지중해연안을 포괄하는 유럽의 지정학적 영향권 확대를 희망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독일은 동부유럽을 겨냥한 유럽연합의 동진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면서, 결과적으로 중앙아시아 방면으로 유럽의 지정학적 영향권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러한 양국의 지정학 전략과 이익 간 불협화음은 근본적으로 서유럽 중심성에 토대를 둔 프랑스의 대 유럽 지정학관과 중부유럽을 유럽대륙의 중심으로 바라보는 독일의 대 유럽 지정학관간 충돌에 기인한다. 양국의 이익충돌을 최소화하면서 유럽연합의 지정학적 확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유럽연합 근방지역의 정치경제적 안정과 유럽과 해당근방지역 간 상호의존성 강화를 골자로 하는 유럽근린정책의 지속적인 발전과 추진이 요구된다.
This study consists to analyze the conflicts on the expansion of the EU in the early 21st century, through comparing the geopolitical interests of France and Germany. By doing this,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 alternative policy for the coexistence of the geopolitical interests of both countries in the course of the EU-Expansion. Concerning the EU-geopolitical construction, France prefers to consolidate the politico-economic integration of the existing Southern European member states to the EU. And she wants to expand the geopolitical sphere of influence of Europe toward the Mediterranean region. On the contrary, Germany supports the eastward expansion of the EU into Eastern Europe. And she seeks to make European geopolitical influences on Central Asia. This interest conflict between both countries has happened, because the geopolitical strategy of France is based on the Western European centrality and that of Germany has been developed by the Central European centrality. In order to minimize this geopolitical clash on the EU-Expansion between both countrie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nd to implement constantly the European Neighborhood Policy, of which objective is to stabilize the neighboring regions of the EU and to increase the interdependence with them.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분석
Ⅲ. 유럽연합의 동진에 대한 프랑스와 독일 간 입장차이
Ⅳ. 프랑스와 독일의 대 유럽 지정학 전략비교
Ⅴ. 맺는말: 유럽근린정책의 지속적인 발전과 추진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2)
- 영국 금융법제의 특징과 금융감독방식의 변화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 왜 프랑스는 극우화되는가?
- 1970·80년대 유럽통합 추동력으로서 독일과 프랑스의 양축
- CISG에 관한 프랑스의 UNILEX 인용지표 분석과 계약당사자의 책임체계
- 체코의 체제전환 성공 요인 분석
- 1656년의 페스트와 산타 체칠리아의 수녀들
- 21세기 초반 유럽연합의 공간 확장 속 프랑스와 독일 간 지정학적 갈등과 공존
- 사회주의 체제전환 이후 헝가리 재외 국민 정책 연구
- “재정복” 개념으로 본 유럽과 이슬람 세계
- 프랑스-영국의 관계, 숙적에서 동맹으로 (1815~1914)
- Environmental Cooperation as a Driver of ‘Low Politics’ in the Baltic Sea: An Actor-Based Analysis
- 유럽과 아프리카 관계
추천 논문
-
이진영(Jin Young Lee), 황상현(Sanghyun Hwang)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재정학연구 제11권 제2호 2018.05
-
이형석(Lee Hyeong Seok), 김정기(Kim Jeong Gi)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논총 제25권 제2호 2018.08
-
장덕호(Jang Deok-Ho) 한국비교교육학회 비교교육연구 비교교육연구 제19권 제2호 2009.06
-
최희재(Choi Hee- Jae) 한국외국어교육학회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7 No.2 2010.09
-
윤우(Yoon Woo) 북한학회 북한학보 北韓學報 第35輯 1號 2010.08
최근이용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