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KCI등재
학술저널
초록
대련은 중국어의 미학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독특한 문학양식이다. 또한 대련은 중국어의 특성을 가장 집중적으로, 전형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속대는 중국의 전통적인 어문교육방식으로 중국어의 특성이 생활 속에 반영된 전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속대에는 중국인의 일상 언어생활의 특성이 잘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속대는 어음, 어휘, 어법이 삼위일체로 융화되어 있어 전통어문교육의 방식으로 채택되어 왔다. 본 논문의 요지는 이러한 전통어문교육방식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서 속대의 한어교학적 가치(대칭, 음률, 수사등)를 현대한어교육에 반영하는 시도에 대한 연구이다.
목차
一. 語感與朗讀
二. 屬對是培養語感的最佳途徑之一
三. 屬對與現代語文敎學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38)
- 漢語詞類硏究史上的“土”和“洋”
- ≪東醫寶鑑≫ “以” 고찰
- 王績의 交遊詩 硏究
- ≪訓民正音≫과 中國 韻書와의 分合관계
- 王蒙 장편소설의 지식인 의식
- 광의의 어법개념에서 본 대외 중국어 교재중의 오류
- 魯迅이 北京에서 活動한 學校소개와 內容 考察
- 新詩的舊夢: 三十年代現代派詩歌對만唐詩詞的接受
- 潘之恒의 演劇論 硏究
- 중국 근현대 “科學”에 대한 인식과 사상 변화
- 才子佳人小說에 보이는 佳人의 形象 小考
- 秦簡 속에 나타난 特殊符號에 대하여
- 한중 문화교류를 통한 백제 차문화 고찰
- 法度和書院教學與桐城文派的傳承
- 袁宏道书信的术特色
- 초중기 狹邪小說의 비교고찰
- 曹우작품의 해방구 공연활동 고찰
- 지괴전기소설의 민간고사 모티브 수용 양상
- Naxi족 전통문화의 다양성과 통일성
- 屬對與語感的培養
- 3세기 중국시가 서정방식의 전환
- 北宋代 辭賦體制의 革新과 歐陽修의 <秋聲賦>
- 銀川 方言 語法 考察
- 중국 영화 관념 邊談(Ⅰ)
- 중국 海外移民의 諸 名稱 분석 연구
- 盛唐詩歌와 盛唐氣象
- 漢代 雅俗觀과 아속문화의 변천과정에 관한 일 고찰
- ≪詩經≫에서의 賦比興의 作詩方式에 關한 小考
- 석주 이상룡의 망명 한시 텍스트와 상황성
- 宋代의 陶淵明 硏究
- 梁漱溟의 鄕村建設運動에 나타난 改革精神
- 北宋代 文學 正統性 회복 노력과 王安石의 杜詩 選擇
- 現狀의 反映과 現實에의 呼應, 民國舊派小說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嚴羽≪滄浪詩話≫詩歌理論探索
-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읽기 지도방안
- 중국 광고 문구 중에 사용된 성어에 관하여
- 시대의 그늘과 지식인의 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