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5 No.2.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스닥 기업의 ESG 활동이 기업 위험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코스닥 기업의 ESG 관련 투자성과가 기업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다. 이 분석을 통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에 비해서 기업 규모와 정보 투명성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코스닥 기업의 ESG 관련 투자성과가 기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했다. 이 분석을 위해서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코스닥 150 기업 중 비금융업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ESG 관련 투자성과 측정치인 ESG score, 기업 위험 측정치인 총 위험(total risk), 기업 고유위험(idiosyncratic risk) 및 하방위험(downside risk) 자료를 이용해서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직전 회계연도 ESG 관련 투자성과(ESG score)와 기업 위험 측정치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분석 대상인 코스닥 기업의 ESG 관련 투자성과가 좋을수록 해당 기업의 위험감소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로 COVID-19 발생이전과 이후 기간을 나누어서 ESG 관련 투자성과의 위험감소 효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COVID-19 이후의 위기상황에서도 코스닥 기업의 ESG 관련 투자를 통해 위험감소 효과는 제한적이지만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코스닥 기업들도 ESG 관련 투자 활동을 통해 기업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위기 상황에서도 제한적이지만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다소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ESG 관련 투자 효과는 기업 위험관리 측면의 순기능 역할은 하고 있다는 것이다.

We examined whether ESG practice could reduce firm risk in the Korea KOSDAQ firms during 2012-2022 period. W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between ESG practice and firm risk. This negative relation remains intact when we use different measures of firm risk. The results imply that the higher levels of ESG practice can act as channel to reduce firm risk.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isk reduction effect of ESG practice of KOSDAQ firm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we found that the risk reduction effect of ESG practice was limited under the crisis. Our results imply that KOSDAQ firms not only can reduce firm risk through ESG investment, but also can somewhat mitigate the negative impact on companies even in crisis.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that ESG practices can be viewed as a tool to provide non-financial information and reduce information asymmetries.

1. 서론

2. 표본 및 변수의 정의

3. 실증분석 결과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