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영치매보험의 현물급부에 대한 이용 및 이용 의향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s of Use and Intention to Use In-Kind Benefits of Private Dementia Insurance: Focus on Speech Therapy, Brain Stimulation Therapy, and Emergency Monitoring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5 No.2
- : KCI등재
- 2023.04
- 781 - 796 (16 pages)
본 연구는 치매 유병자를 대상으로 치매 치료 관련 서비스의 이용과 이용 의향의 영향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치매 유병자 300명(N=300)이 연구대상자이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치료장소가 의료기관이고, 현재 이용 중인 장기요양소비스의 종류가 많을수록, 최초 치매진단 후 기간이 길어질수록 언어치료 서비스의 이용과 이용할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치매 유병자가 남성인 경우, 현재 이용 중인 장기요양서비스의 종류가 많을수록, 노인장기요양등급이 높을수록 뇌자극 치료서비스의 이용과 이용할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치매 유병자의 보호자가 남성인 경우 응급상황 모니터링 서비스의 이용과 이용할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민영치매보험의 현물급부를 개발하고 마케팅 활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치매 관련 현물급부의 활성화를 통해 민영보험의 사회안전망 강화, 헬스케어산업의 발전, 사회적 비용의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use and intention to use dementia treatment for dementia patient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the study subjects were 300 dementia patients (N=300). As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the treatment place was a medical institution, the more types of long-term care services currently in use, the longer the elapsed time since the first diagnosis of dementia, the higher the use and intention to use speech therapy services. As the dementia patient was male, the more types of long-term care services currently in use, and the higher the elderly long-term care level, the higher the use and intention to use brain stimulation therapy services. As the guardian of the dementia patient was male, the use and intention to use the emergency monitoring service were hig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ly used for developing in-kind benefits for private dementia insurance and for marketing activiti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social safety net of private insurance ,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care industry, and diminishing social costs through the vitalization of dementia-related in-kind benefits.
1. 서론
2. 선행연구와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