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5 No.2.jpg
KCI등재 학술저널

직무도전성이 학습민첩성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Challenge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Learning Agility

DOI : 10.37727/jkdas.2023.25.2.843
  • 174

본 연구는 최근 경제사회적 변화로 인해 경력이 개인중심으로 바뀌면서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관적 경력성공의 다양한 선행요인을 밝히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와 함께 직무도전성과 학습민첩성을 함께 분석하였다. 3개의 변수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각 변수들의 개념적 특성을 바탕으로 이론적 관계를 가정하여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 수집한 248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가설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통한 Sobel test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직무도전성은 학습민첩성과 주관적 경력성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도전성은 학습민첩성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다뤄진 변수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주관적 경력성공을 높이기 위해, 기업차원에서 도전적인 직무를 구성하는 것의 필요성과 학습민첩성을 높일 수 있는 조직의 분위기와 교육의 필요성 등을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job challenge and learning agility together to reveal various antecedent factor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which increased interest as careers changed to individuals due to recent economic and social changes. In a situation where empirical studies that analyzed three variables integrally are insufficient, a theoretical relationship was assumed based on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each variable. 248 data collected in a survey conducted on domestic companies were analyzed. Along with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In addition, Sobel test was performed for mediating effec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job challeng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agil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addition, job challenge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learning agilit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challenging jobs at the corporate level, the atmosphere of the organization that can increase learning agility,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were presented as practical implication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의 제시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