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18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부지원 직업훈련 평가자의 전문성 개발 과정 탐색

Exploring the expertise development process of assessors in government-supported vocational training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지원 직업훈련 평가자의 전문성 개발 과정이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정부지원 직업훈련 평가자의 전문성 개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9명의 연구 참여자를 이론적 표집에 의해 선정하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체계적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현상 이해 분석, 범주 관계성 분석, 이론 통합 분석을 단계적으로실시하였다. 현상 이해 분석을 통해 다수의 개념과 15개의 범주들이 추출되었다. 범주 관계성 분석에서는 범주들을 특정한 틀에 따라 재구성하여 인과적 관계 분석, 과정적 관계 분석, 미시적-거시적 관계 분석을 통해 범주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이론 통합 분석에서 핵심 범주인 ‘절차탁마 자세의 견지’를 도출하고, 분석 결과들을 통합하고 정교화함으로써 정부지원 직업훈련 평가자의 전문성 개발 과정에 관한 이론을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전문성 개발 과정은평가현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호작용 경험 속에서 주도적인 자기개발, 자기반성의 과정을 통해계속해서 발전되는 것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지원 직업훈련 평가자는 평가자로서의 노하우를구축하고, 역동적인 평가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돌발 상황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대응력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tise development process of assessors of government-supported vocational training. Nin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phenomenon understanding analysis, category relationship analysis and theoretical integr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step by step using the systematic grounded theory. In the phenomenon understanding analysis, a number of concepts and 15 categories were extracted. In the category relationship analysis, the categories were first reconstructed based on a specific framewor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egories was identified through causal relation analysis, procedural relation analysis, and micro-macroscopic relation analysis. In the theoretical integration analysis, ‘the applying oneself and studying hard to cultivate expertise’, a key category, was derived, and a theory about the expertise development process of government-supported vocational training assessors was presented as a model. The expertise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tinued to evolve through the process of leading self-development and self-reflection in various interactive experiences occurring in the evaluation fiel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able to build an effective system as an evaluator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respond flexibly to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that occur in the dynamic evaluation fiel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