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普照思想 第65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의 의순의 이종선과 다선일미의 상관성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Jong-Seon and Daseonilmi of Choui-Uisun: Through Seonmunsabyeonmaneo and Dongdasong

DOI : 10.22859/bojoss.2023..65.001
  • 35

백파가 『선문수경(禪文手鏡)』을 통해 삼종선을 주장하자. 초의는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를 통해 이를 반박하고 이종선을 주장하였다. 또한 초의는 『다신전』을 편저하고 『동다송』을 저술하여 한국 다도의 새로운 세계를 개척하였다. 이외에도 초의는 청허의 법맥을 잇는 대선장(大禪匠)이자 교학과 율학은 물론 유학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시 ⸱ 서 ⸱ 화 및 범패에도 뛰어난 인물이었다. 다양한 방면에 있어서 큰 업적을 남긴 초의이지만, 초의의 정체성은 그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선사(禪師)라는 점에 있다. 초의의 이종선 사상은 『선문사변만어』를 통해 드러나 있으며, 그의 다도사상은 『동다송』 속에서 도출할 수 있다. 문제는 이종선 사상과 다도사상 사이에 어떠한 상관성이 존재하는가 하는 점이다. 그런데 『동다송』 속에 이종선이 투영되어 있다는 구체적인 전거는 보이지 않는다. 이는 초의의 다도사상이 이종선과 긴밀한 상관관계를 지니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동안 조선 후기 선리논쟁에 있어서 초의의 이종선 사상은 백파의 삼종선 사상에 비하여 많은 사람들로부터 지지를 받아왔다. 그러나 ‘조선 후기 청허계를 대표하는 대둔사 13대 종사로서 초의의 이종선 사상과 다도사상이 조선 후기 선사상을 대표할 수 있는가’ 하는 점과 ‘초의가 청허계의 선사상을 바로 계승했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선문사변만어』와 『동다송』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의문점을 제기하였다. 추후 ‘조선 후기 선사상의 정체성이 무엇인가’하는 담론에 있어서 유의미한 문제를 제기했다는 점에 있어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When Baekpa argued for Samjong-Seon through Seonmunsu -gyeong, Choui refuted it through Seonmunsabyeonmaneo and insisted on Ijong-Seon. In addition, Choui wrote Daeshinjeon and wrote Dongdasong to pioneer a new world of Korean tea ceremony. And also, Choui was a great Seon master who connected the Dharma lineage of Cheongheo, was well versed in Buddhist doctrines and Buddhist discipline as well as Confucianism, and was excellent in poetry, calligraphy, painting, and Buddhist chant. Although Choui has made great achievements in various fields, Choui’s identity lies in that he is a Seon master representing the late Joseon Dynasty. Choui’s IJong-Seon idea is revealed through the Seonmun sa-byeonmaneo, and his tea ceremony idea can be derived from Dongdasong. The question is what kind of correlation exists beween IJong-Seon idea and tea ceremony idea.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evidence that IJong-Seon is projected in Dongdasong. This means that the tea ceremony idea of Choui does not have a close correlation with IJong-Seon. Until now, in the debate over Seon the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dea of Choui’s IJong-Seon has been supported by many people compared to the idea of Baekpa’s Samjong-Se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fact that ‘as the 13th master of Daedunsa Temple representing the Cheongheo’s line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Ijong-Seon and the tea ceremony ideas represent Seon thought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Did Choui inherit the Seon thought of Cheongheo’s lineage in the right way?’ In this paper, these questions were raised through the analysis of Seonmun -sabyeonmaneo and Dongdasong.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aised a meaningful problem in the discourse of ‘what is the identity of Seon thought in the late Joseon Dynasty’.

Ⅰ. 들어가는 말

Ⅱ. 『선문사변만어』에 나타난 이종선 사상

Ⅲ. 『동다송』에 나타난 다선일미 사상

Ⅳ. 이종선과 다선일미의 상관성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