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주도성이 정신장애인의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에 미치는 영향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Proactivity of Psychiatric Nurses on Advocacy Attitudes, and Advocacy Interventions in Mentally Disabled People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Vol.19 No.2
-
2023.02141 - 158 (18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23.19.2.141
- 이용수 207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통합을 위하여, 정신간호사를 대상으로 정신장애인의 옹호태도와옹호개입의 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와 K도에 소재한 정신의료기관과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시설에 근무 중인 간호사 1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정신간호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인권감수성, 주도성을 확인하고, 정신장애인의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정신간호사의 옹호태도에 가장 큰 영향력은 주도성(β=.532), 인권감수성(β=.291)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0.5%이다. 옹호개입에 가장 큰 영향력은 주도성(β=.583), 인권감수성(β=.328), 이직희망(β=-.121), 종교(β=.092), 지위(β=.083)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72.6%이다. 정신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연령, 이직희망에따라 지역사회정신건강복지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인권교육참여횟수,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근무환경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야할 것이다.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9 nurses attending the hospital an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in B and K city.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for the perception of proactivity,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n advocacy attitudes and advocacy interventions.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nurses’ advocacy attitudes are “proactivity” (β =.532),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β=.29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60.5%.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nurses’ advocacy intervention are “proactivity” (β=.532), “human rights sensitivity” (β=.291), “turnover” (β=.121), “religion” (β=.092), “position” (β=.083)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72.6%. In addition, a continuous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offered to psychiatric nurses who may have a positive approach toward advo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3)
- 국가핵심기반 기능연속성체계의 최대허용중단기간 산정 연구
- 사법부와 정치위기
- LID 적용가능 위치 판단을 위한 중첩지도 분석
- 사방댐에 작용하는 토석류 충격력 산정식의 적용성 검토
-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정책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도시유역 물순환 분석체계 개선연구
- 위기경보 유형분류에 따른 재난대응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주도성이 정신장애인의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에 미치는 영향
- 생명과학기술 위기관리를 위한 규제정책 고찰
- ESG 투자의 수익성과 리스크 분석
- 용암동굴 사례를 통한 제주특별자치도 도로 관리 조례 개선 연구
-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9 No.2 목차
- 다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상수관망의 최적 설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