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보보안 정책 및 제재 인식이 공정성을 통해 준수 의도에 미치는 영향

공정 민감성의 역할

조직의 정보 자산에 대한 보호가 조직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면서, 조직들은 체계적인 정보 자산관리 및 보호를 위한 정책, 규정, 그리고 기술 등에 대한 투자를 높이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 내 도입된 정보보안 정책을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 조직원의 관점에서 보안 준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특히, 본 연구는 억제 이론 확장의 관점에서 정보보안 정책 인식, 제재의 방식, 공정성, 그리고 정보보안 준수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밝힌다. 본 연구는 정보보안 규정을 업무에 적용한 조직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확보된 316개의 표본을 적용하였으며, AMOS 및 SPSS 패키지를 활용하여 메커니즘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정보보안 정책 인식이 제재의 심각성과 명확성을 통해 조직 공정성 및 준수 의도를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개인의 공정 민감성이 공정의 원인과 결과의 과정에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제재의 영향 메커니즘은 조직 내부의 보안 행동 수준 강화를 추구하는 조직에서 조직원의 참여 증진을 위한 방법 마련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As protecting organizations' information assets affects their substantiality, they are increasing their investments in policies, regulations, and technologies for systematic information asset management and protection. This study confirms the impact on information security(IS) compliance from the perspective of employees who apply IS policies to actual work. In particular, this study identifies mechanisms linked to IS policy awareness, sanction, justice, and IS compliance from the perspective of expanding deterrence theory. We applied 316 samples obtained from workers of organizations that applied IS policies and regulations to work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chanisms by using AMOS and SPSS package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S policy awar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 justice and compliance intention through the severity and clarity of sanctions. Individual justice sensitiv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cause and outcome of justice. The sanction-related mechanism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strategic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s that require active IS activities by insider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델의 구성 및 측정 방법

Ⅳ. 분 석

Ⅴ.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