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대회자료
中國 人名 및 地名의 原音主義 表記에 대한 淺見
- 全廣鎭
- 중국인문학회
- 중국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08년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 2008.06
- 35 - 39 (5 pages)
1. 원음주의 ‘원음’의 의미 - 우리에게 있어서 한자의 원음은 무엇인가?
2. 우리는 중국보다도 한자를 더 잘 사용할 수 있고 또 잘 사용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식 한자음을 살려 읽어야 한다.
3. 원음주의 표기라고 하지만 사실은 실제 원음과는 차이가 너무나 크다. 즉 원음을 정확하게 표기하지 못하고 있다.
4. 원음주의 표기는 1:1 음절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5. 원음 표기에 따라 표기하면 한국어 음운규칙에 부합하지 않는 기형(畸形) 음절이 등장된다.
6. 원음 주의는 역사적 발전을 역행하는 처사이다.
7. 한글 창제이후 약 500년 간 끊임없이 발전되어 온 우리나라 한자음이라는 문화적 전통을 계승하여야 마땅하다.
8. 원음주의 표기는 우리 고유의 한자음을 버리고 중국식(중국 한자음)에 따르는 결과가 되므로 민족문화의 정체성이 심각한 손상을 초래한다.
9. 한국 한자음은 물론 한자의 의미와도 괴리감이 생길 수밖에 없는 원음주의 표기는 의미 파악과 의사소통의 장애물이 되기 때문에 즉각 중지되어야 마땅하다.
10. 특히 우리의 고토 지역에 대한 지명은 반드시 우리식 한자음으로 읽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