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년에 창딩한지 50여년이 지난 현재 민족전선은 프랑스 정당정치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주요 행위자로 자리잡은 것에 만족하지 않고 집권을 향한 의지를 그 어느 때보다 불태우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정당이 속한 프랑스 정치시스템 및 극우 운동권과의 역학관계 속에서 이 당이 그동한 변화된 모습에 대한 실체적 접근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는 민족전선의 기본 이념과 변화를 민족포퓰리즘, 종족민족주의, 종족차이주의, 이 세 개의 개념을 통해 조명하는 한편 마린 르펜이 당 대표에 오른 후에 현 시점까지 ‘탈악마화’ 전략의 일환으로 진행되어 온 당 노선과 정책, 및 담론의 변화를 살핀다. 이념적 진화(종족 차이주의), 반 이슬람노선의 정립, 및 전략적 선택(세속주의 채택, 반유대주의와의 결별, 페미니즘/동성애에 대한 친화적 태 도)이 이 정당을 약진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제노포비아 극우 정치세력으로서의 이 당의 이념적 본질은 상수로 남아있다.
Plus de 50 ans après sa fondation en 1972, le Front National conforte désormais sa position d'acteur principal et “normal” dans la vie politique française et maintenant affiche ouvertement sa volonté de la conquête du pouvoir politique suprême. Dans cet article, nous tenterons de mettre en lumière sur l'évolution récente de ce parti en rapport à la fois avec le système politique français et la mouvance d'extrême droite à laquelle appartient cette formation politique. Plus précisément, le fondement idéologique du paiti et ses changements seront éclairés à travers l'articulation de trois notions-clés, soit le national- populisme, le ethno-nationalisme et le ethno-différentialisme avant d'aborder une série de réorientations en matière de lignes et discours politiques dans le cadre de la stratégie de « dé-diabolisation », mise en oeuvre par Marine Le Pen. Bien que la mutation idéologique et les choix stratégiques soient les principales variables expliquant l'essor électoral de ce parti, sa nature idéologique en tant que force politique d'extrême droite xénophobe reste constante.
1. 머리말
2. 이념적 토대와 진화
3. 탈악마화 전략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