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대회자료
<训民正音谚解>中所见的谚读、谚译汉字音韻研究
- 盧相峰
- 중국인문학회
- 중국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18년 춘계연합학술대회 발표집
- 2018.06
- 301 - 326 (26 pages)
韓國語 音韻史는 實質的으로 訓民正音 創製 이후부터 전개되는 것이다. 그 以前의 音韻體系는 확인하기 어려운 형편에 놓여 있어. 아직도 體系的인 연구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할 것이다. 그 以後의 音韻體系, 특히 15世紀 中期 韓國漢字音에 대한 硏究는 있지만, 혹은 “≪東國正韻≫ 無價値論”에서 進展된 것이거나, 혹은 固定된 ≪東國正韻≫式 漢字音에서 연구된 것이고 혹은 한문≪訓民正音≫에 매달려 있는 것이다. 실제로 15世紀 韓國漢字語에 대한 연구는 “≪東國正韻≫ 無價値論”의 影響을 받아서, ≪東國正韻≫에 대한 視覺이 固定되었고, 그것에 대한 信賴度가 弱化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固定된 視覺을 벗어나서, 洪起文先生이 提示한 <訓民正音諺解> “그 當時의 用例를 연구하는데 標準을 삼기에 가장 適當한 책이다.”에 따라, 發展的인 認識을 가지고, <訓民正音諺解>를 이용하여 韓國漢字音 音韻體系와 대조하여 면밀하게 分析하고 檢討하는 것이 당면한 課題라고 할 수 있다. 本考는 먼저 初聲을 先導하여 <訓民正音諺解>를의 谚读한 文言文汉字音과 谚译한 白话文汉字音을 全部 제시하고 然後 初聲을 기술한 기초에 이어서 中聲과 終聲을 기술한 同時에 谚读의 文言文汉字音、训民正音;六祖法宝坛经谚解의 汉字音과 谚译의 白话文汉字音、训民正音、东国正韵의 汉字音과 比较的 기술을 하였다. 이런 기술에 의하여 3가지 結論을 내린다.
1. 绪论
2. 谚读、谚译汉字音初声
3. 谚读、谚译汉字音中声
4. 谚读、谚译汉字音终声
5. 结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