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한 고전 다시(茶詩)비교 연구
송대와 고려시대 다시(茶詩)를 중심으로
- 袁柳
- 중국인문학회
- 중국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18년 추계국제학술대회 발표집
- 2018.12
- 212 - 233 (22 pages)
중한 양국간 공통의 전통 문화 원소를 찾는 것은 동방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대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대사회에서 활기 있는 생명력과 발전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차문화는 아주 전형적인 예이다. 차는 동방문화의 특색을 가장 많이 지닌 대표적인 문화의 하나이고 중한 양국 민족 전통 문화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를 갖고있다. 차와 문학의 결합은 차에 많은 사람의 인문정신과 심미적 취향을 부여하였고, 차문화는 물질문화와 정신문화가 밀접히 결합된 하나의 독특한 문화가 되었다. 중한 양국의 차문화 역사로 볼 때 양국 문인들은 대량의 차에 관한 시문을 남겼고,이런 차시는 당시의 명차, 차인, 차속, 차사를 기록하여 당시의 사회 생활 상태, 심미 취향과 가치의 추구를 반영하여 우리가 고대 차문화를 공부하는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다. 본 연구는 차문화학 관련 이론의 기초상에서 문화학, 민속학, 인류학, 미학를 참고로 하여 비교문학의 기초 이론을 통하여“화이부동”(和而不同)의 이념을 주도하였다. 중국 송대와 한국 고려시대의 차시에 대해 정리하고 송대와 고려 차시의 창작주체, 창작배경의 같은점과 다른점을 비교하며 차시 중의 관련 차문화를 발굴하고 정리하였다. 차시에 표현된 당시의 차생활 상태, 문인의 교류 및 심미 취향과 정신의 추구를 비교、연구하여 양국 차시의 관련성과 영향 관계를 찾는데 힘쓰고 차문화를 대표로 하는 전통 문화의 현대적 가치의 전형을 고찰한다.
在中韓兩國之間尋找共同的傳統文化元素, 既能代表東方悠久的歷史和文化, 又能在當代社會保持蓬勃的生命力和發展空間, 茶文化是一個很好的典型。茶作爲最具有東方文化特色的代表性文化之一, 在中韓兩國民族傳統文化中具有極其重要的地位。茶與文學結合, 使茶被賦予了衆多的人文精神和審美趣味, 茶文化成爲物質文化和精神文化緊密結合的一種獨特文化。縱觀中韓兩國的茶文化史, 兩國文人留下大量的與茶有關的詩文, 這些茶詩記載了當時的名茶、茶人、茶俗、茶事, 反映了當時的社會生活狀況、審美情趣和價值追求, 成爲我們今天學習古代茶文化的重要參考。本研究在茶文化學相關理論的基礎上, 借鑑文化學、民俗學、人類學、美學、比較文學的基礎理論爲指導, 秉持“和而不同”的理念, 對中國宋代和韓國高麗時代的茶詩進行梳理, 對比研究宋代和高麗茶詩的創作主體、創作背景的異同, 挖掘整理茶詩中的相關茶文化, 研究在茶詩呈現出來的當時的茶生活狀態、文人交往以及審美趣味和精神追求, 尋找兩國茶詩的關聯和影響, 中韓古代茶詩從形式到內容, 從概念外延到文化內涵, 有很多的共同之處, 中韓古典文化之間具有強大的包容性和接受度, 同時, 茶文化本民族的歷史、政治和文化相融合, 具有各自的民族特色, 從而使中韩茶文化呈現出“和而不同”的局面。古典茶诗的研究, 使人们更懂茶、更爱茶, 茶詩不仅對於提升茶的品味, 增加茶的魅力, 倡導人們樹立現代綠色健康的生態美學觀念, 培養生活雅趣等有着积极的现代意义, 而且在当代社会生活中, 丰富的传统的茶精神文化可以提高我們的知識和涵養, 守護和弘揚東方茶文化獨特的審美情趣和價值追求。
서론序論
본문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