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자폐성장애연구 제23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령전기 자폐 아동 대상 사회인지 향상을 위한 개입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on Social cognition in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OI : 10.33729/kapa.2023.1.4
  • 431

본 연구는 사회인지 향상을 위한 개입에 대한 국외 문헌을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연구 동향 및 국내 적용을 위한 실제적 방법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의 국외 학술지를 대상으로 총 1,101편이 수집되었다. 선정 및 배제 기준에 따라 3편의 RCT문헌이 선정되어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각 개입프로그램의 특징을 확인하였으며, 비뚤림 위험평가 결과 2편이 중간, 1편이 위험으로 나타났다. 메타분석에서 ADOS-G와 ESCS를 통해 측정한 공동주의를 사회인지 능력으로 합산하여 효과성을 확인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SPA가 측정한 기능 놀이는 중재 직후에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추적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목적인 동향 분석은 선정된 문헌 수의 한계로 일반화하여 제시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근거 기반의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와 함께 국내 적용을 위해 의료 기관 접근 및 진단에 대한 용이성 구축 및 이후 효과적인 개입 도구의 개발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Objective: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interventions for social cognition in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aimed to provide evidence regarding occupational interventions. Methods: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were collected by searching the PubMed, Scopus, ProQuest Health & Medical Collection (PML), and PsycARTICLES databases as well as two trial registries. We searched the databases and registries for articles from January 2013 to January 2023 using the following search strategy: [(autis*) AND (“social cognitive” OR “social cognition”) AND (Intervention or therapy or approach or treatment or training)]. A total of 3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election criteria: The studies included in the review were selected if they reported on an applicable intervention for social cognition, present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ata, and included participants who had a confirmed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interventions for social cognition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s were meta-analyzed using the ReviewManager (RevMan) 5.4 program. Results: Thre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volving 378 participants were included. The Intervention program that includes social cognitive components for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sulted in an increase in social cognition and functional play skills. Conclusion: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were able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effect of interventions on social cognition in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on the need for accessible diagnosis, improving the quality and diversity of early intervention services, and policies for effective intervention provision.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