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대회자료
방언 내부의 입성(入聲) 운미 변화에 관한 소고
난창 방언(南昌话)을 대상으로
- 박규정
- 중국인문학회
- 중국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20년 추계연합학술대회 발표집
- 2020.11
- 351 - 356 (6 pages)
현대 중국어에서 ‘입성(入聲)’이란 중세 중국어의 사성(四聲) 중 하나인 입성에 연원을 두고 있는 ‘성조범주(調類)’를 말하며, 난창 방언(南昌话)은 장시성 난창시(江西省南昌市) 및 주변의 현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난창 방언은 입성이 소실되기 시작하는 방언이며 현재에도 입성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제약의 등급 관계’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난창 방언에서 모든 p운미 및 모음 ɛ(e) 뒤의 k운미가 t운미로 변화한 것은, 입성 운미의 위치 자질을 유지시키는 충실성 제약(Ident(PlaceF))보다 p운미와 k운미를 제한하는 유표성 제약(*[+ant][-cor]]σ 및 *[+mid][-back]&[+oral][-ant][-cor])이 더 높은 등급을 가지게 되어 p운미와 k운미의 실현을 제한했기 때문이며. 또한 ʔ를 제한하는 *[-oral]]σ 역시 Ident(PlaceF)보다 상위에 있으므로 p운미와 k운미는 ʔ운미로 변하지 않는다. 둘째, 난창 방언에서 모음 u, o, ɔ, a, ɑ 뒤의 k운미가 ʔ운미로 변화한 것은 *[-oral]]σ의 등급이 t운미를 제한하는 *[+ant][+cor]]σ보다 낮아졌기 때문이다
1. 서론
2. 난창 방언 입성 운미의 변화에 관한 고찰
3.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