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교 학생 상담센터 상담 전문직의 과학자-실무자 모델 역할 수행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Role Performance based on the Scientist-Practitioner Model for Counseling Professionals in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Centers

  • 34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8호.jpg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실무자 모델의 구체적인 실천 내용과 함께 연구와 상담의 긍정적 환류 효과를 밝히고자 했다. 방법 본 연구는 대학교 학생 상담센터 상담자들의 과학자-실무자 모델 수행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에는 8명의 상담자들이 참여했다. 자료는 참여자들과 1:1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심층 면접 기간은 2022년 7월 25일부터 8월 14일까지 수행했다. 연구 참여자 1인당 3회, 평균 50분이 소요되었다.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했다. 결과 142개의 의미 단위가 구성되었다. 이를 연구 참여자 경험의 공통성 차원에서 21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6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범주에서는 ‘과학적 방법론 체득’, ‘인간 과학의 기초’, ‘지식생태계 조성의 과정’이라는 범주가 나타났다. 상담의 범주에서는 ‘기다릴 수 있는 능력의 배양’, ‘내담자에 대한 균형 잡힌 책임성’, ‘증거 기반 상담’이라는 범주가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연구와 상담의 긍정적 환류 효과, 인간 과학의 기초, 지식생태계 조성의 과정, 상담자의 기다릴 수 있는 능력 배양, 내담자에 대한 균형 잡힌 책임성, 증거 기반 상담에 대한 논의를 했고, 과학자-실무자 모델의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제언을 했다.

Objectives This phenomenological study investigated role performance based on the scientist-practitioner model for counseling professionals in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centers. In this study, we aimed to clarify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research and counseling as well as the detailed practice of the scientist-practitioner model. Methods Eight professional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in-depth interview period was conducted from July 25 to August 14, 2022. It took an average of 50 minutes, 3 times per study participant. Data were analyzed using a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roposed by Colaizzi(1978). Results Results 142 semantic units were constructed. From this, 21 sub-components and 6 components were derived from the commonality dimension of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The research categories of ‘Learning Scientific Methodology’, ‘Fundamentals of Human Science’, and ‘Process of Creating a Knowledge Ecosystem’, and the counseling categories of ‘Culturing the ability to wait’, ‘Balanced responsibilities for counselees’, and ‘Counseling based on evidence’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research and counseling, the fundamentals of human science, the process of creating a knowledge ecosystem, culturing the ability to wait, balanced responsibilities for counselees, and counseling based on evidence are discussed. Conclusions Specific recommendations are provided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cientist-practitioner model in the counseling curriculum.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