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긍정언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ositive Language Programon peer relationshipsss and Class Cohesiv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4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8호.jpg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언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급에 또래관계 척도, 학급응집력 척도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이 확인된 두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 적용된 긍정언어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대상의 학년 상황에 맞추어 총 8회기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 28.0을 통해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언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또래관계 사후점수(M=4.02)가 통제집단의 사후점수(M=3.25)보다 향상되었고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p<.001). 둘째, 긍정언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급응집력 사후점수(M=3.83)가 통제집단의 사후점수(M=3.34)보다 향상되었고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p<.05). 결론 본 연구에 사용된 긍정언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또래관계와 학급응집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지난 몇 년간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위기를 겪은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학급응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언어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로써 긍정언어 사용의 효과성을 제공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positive language programs on peer relationshipsss and class cohesiveness in elementary school. Methods To this end, two classes whose homogeneity was confirmed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by conducting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peer relationshipss scale and class cohesiveness scale in the 6th grade classes of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ngnam-si, Gyeonggi-do. The positive language program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a total of 8 sessions.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the same post-test as the pre-test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a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paired sample t-test through SPSS 28.0.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peer relationship post-score (M=4.02) applying the positive language program improved than the control group's post-score (M=3.25) and showed a significant effect (p<.001).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s post-class cohesion score (M=3.83) applying the positive language program improved from the control group's post-score (M=3.34) and showed a significant effect (p<.05).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language program used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peer relations and class cohesiveness in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lied a positive language program to improve peer relationshipsss and class cohesiv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ri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over the past few year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