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는 조성의 해체와 함께 화성보다는 대위적 사고가 우위를 갖게 된 시대이다. 본 논문은 20세기 작곡가들이 대위적 짜임새를 형성하기 위해 구사하고 있는 다양한 방식들 가운데 대표적 한 가지 예인 비조성 푸가를 통해 현대 비조성음악에서의 대위적 텍스처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대위’의 음악사적 개념과 대위적 음악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20세기 작품에서의 대위적 양상을 수직적 음정의 처리에 대한 ‘공통관습의 부재’라는 측면에서 논의한다. 이어서 ‘푸가’의 음악사적 개념과 조적 관계성이 부재하는 현대 비조성푸가의 특징과 한계점들을 고찰함으로써 단순 모방기법과 구별되는 푸가만의 특징이 비조성푸가에 존재하는가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아울러 20세기 비조성푸가의 유형들을 세 가지로 분류해, 전통적 푸가의 외형적 특성을 유지하나 조적 관계성을 실제로 갖지 않는 푸가로부터 현대적으로 새롭게 재해석된 실험적 푸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 예를 통해, 비조성푸가의 한계점과 이에 대한 작곡가들의 대안모색 방식들을 살펴본다.
Music in the 20th-century, with the diminishing importance of tonality, placed its emphasis rather on linearity and horizontality than on harmony and verticality.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contrapuntal texture in 20th-century atonal music by looking into atonal fugues: first, the historical concept of counterpoint and some characteristics of contrapuntal music, and a lack of common practice in 20th-century counterpoint; second, the historical concept of fugue versus modern atonal fugues without tonal relation, in respect of whether a definable character of fugue exists as distinct from 'imitation' technique. Lastly, I classified atonal fugues in three different categories according to the extent of traditionality and experimental reinterpretation of fugue, with analyzing some examples in somewhat critical view.
Ⅰ. 들어가는 글
Ⅱ. 대위의 음악사적 개념과 20세기의 대위
Ⅲ. 푸가의 음악사적 개념과 20세기의 비조성푸가
Ⅳ. 작품 예를 통해 본 비조성푸가의 양상들
Ⅴ. 나가는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