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의 평범한 독일 음악가들(궁정음악가, 도시음악가)의 급료는 적었다. 그래서 현물(Naturalien)과 특별수당(Gratifikation), 그리고 때에 따라 숙소와 식사가 함께 제공되는 이중(二重) 보수 제도였다. 연봉으로 정하였던 궁정음악가의 수입은 자체적으로도 격차가 심하였다. 소수의 정상급 음악가들은 고액의 연봉을 받았지만, 대부분은 생활하기에도 빠듯한 액수를 받았다. 정세의 변화에 따라 궁정악단은 해체·결성을 반복하였고, 국가 재정이 어려우면 임금은 체불되기 일쑤였다. 반면에 시청과 교구청 소속의 도시음악가는 고용 여건에서 안정적이었으나, 연봉 자체가 아주 낮았다. 그래서 부수입원인 잡종행사(Accidentien)가 오히려 더 주된 수입원이었다. 그럼에도 결과적으로 음악가들의 수입을 다른 시민 사회 구성원들과 비교해 보면, 그 수입은 중간 또는 그 이상에 해당하는 수준이었고, 사회적인 신분도 대략 그것에 준하였다.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wage of ordinary German musicians (court musician, urbanmusicians) was low. It was a dual wage system paying in the form of payment-in-kind (Naturalien)and special allowance (Gratifikation), or providing accommodation and meals with the payment asthe occasion demands. The wage differentials, arranged as an annual salary, among the courtmusicians were extreme. Except a few first-class musicians receiving a large income, the majorityof musicians struggled with the tight income. Court orchestras were repeatedly disbanded andorganized in consequence of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payment was oftendelayed upon the aggravation of the national financial condition. Compared to the courtmusicians, urban musicians belong to the city hall, and curia dioecesana had a stable employmentcondition although the annual income was very low. Thus, the source of side income from avariety kinds of events (Accidentien) was their main income source. Despite the poor financialcondition, the musicians’ social status and income level were above the average or equal to theaverage of citizens’ income and social status.
1. 정치 · 지리적인 배경
2. 경제적인 배경과 화폐
3. 음악가들의 유형과 수입
4. 궁정음악가
5. 직업과 경제 여건에서 바라본 18세기 음악가들의 딜레마
6. 도시음악가
7. 정리 및 평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