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메타버스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자의 학습 효과와 만족도 변화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기반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있는 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만족도 차이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혼합형 메타버스 수업은 온라인 메타버스 및 기존 교실 수업보다 학습 성과와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메타버스 기반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참여와 몰입을 효과적으로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기관 및 교육자들이 메타버스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 및운영할 때 혼합형 메타버스 수업을 고려하여 외국인 대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and satisfaction changes in learners using metaverse-based educational programs and derive improvement plans. A survey was conducted on foreig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a metaverse-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measure the program's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difference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metaverse-based program effectively increased learner engagement and immersion. Blended metaverse classes showed higher learning outcomes and satisfaction than online metaverse and traditional classroom classes. The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ducators consider implementing blended metaverse classes when developing and operating metaverse-based programs, which can provide more effective support for foreig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Korea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