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와 융합 제45권 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 신입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및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Literacy Capacity and Perception of New College Students

DOI : 10.33645/cnc.2023.04.45.04.591
  • 530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및 그에 대한 인식을 고찰함으로써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고려한 교양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관련 문제 해결 능력은 낮은 편이다. 접속 장애를 해결하거나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능력은 부정 응답 비율이 47% 내외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리포트 표절 검사 능력 등 대학생들의 디지털 윤리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셋째, 학생들은 영상으로 된 자료는 좋아하지만, 전자책보다 종이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튜브 매체를 선호하는 데 비해 전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영상을 편집하는 능력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양교과목 수강 경험이 전공 교과목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자책으로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리터러시 능력의 방향을 전환하고, 디지털 시민 의식과 윤리의식을 보다 철저히 확립하며, 디지털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로서의 능력을 기를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liberal arts education plan that considers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by examining the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nd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First, students' ability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digital devices is low. The ability to solve access failures or treat malicious code was very high with a negative response rate of around 47%. Seco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digital ethics, such as the ability to test report plagiarism, was generally low. Third, it was found that students like video materials, but prefer paper books to e-books. Fourth, compared to the preference for YouTube media, the ability to edit videos using professional programs was found to be poor. Fifth,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taking liberal arts course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did not reach the major subjects. Through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literacy ability so that information and knowledge can be obtained through e-books, establish digital citizenship and ethical awareness more thoroughly, and develop the ability as a producer, not a digital consumer.

1. 서론

2.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 및 교육의 필요성

3. 연구 내용 및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