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서양음악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 서술하는가? 서양음악사 서술의 구성성에 관하여

18세기 말부터 20세기 말까지 독일어권을 중심으로

서양음악사 서술에서 드러나는 ‘주관성’, ‘사회성’, ‘담론성’을 역사서술의 ‘구성성’이란 측면에서살펴본다. 방법론적으로 후구조주의 사회학 이론들(지식사회학과 실제사회학)과 신역사주의(New Historicism)의 역사학 이론들을 서로 연계시키고, 이런 연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토대를 기준으로 하여 음악편사학적 현상에 접근한다. 계몽주의부터 형성되고 변화되어 현재까지 효력을 발휘하는 서양음악사 서술구조의 형성과 이와 관련된 현상들을 사회학적이자 역사학적으로 논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The ‘subjectivity’, ‘sociality’, and ‘discursivity’, which are revealed in the description of Western Music History, are examined in terms of ‘constructiveness’ of historical writing. Methodologically, we link the poststructuralist sociological theories (Sociology of Knowledge and Sociology of Practice) with the historical theories of New Historicism, and apply the theoretical basi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is linkage to the music historiographical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sociological and historical aspects of the formation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Western Music History that has been formed and changed from enlightenment to the present.

1. 들어가면서

2. 18세기 말부터 19세기 말까지 서양음악사 : 사회적 지식과 담론의 형태에서 기본구조 형성

3. 20세기 서양음악사: 지식의 제도화와 새로운 시도들

4. 역사적 “실재”와 “진정한 역사”에 대한 토론과 서양음악사 서술의 구성성

5. 나가면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