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베토벤의 ≪멀리 있는 연인에게≫에서 소나타형식의 양상이 나타남에 따라 기악적 형식이 성취되고 있음을 논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초기 가곡인 ≪아델라이데≫와 ≪여섯개의 노래≫ 중 제2곡 ‘새로운 사랑, 새로운 삶’에서 나타나는 소나타형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들 가곡에서 나타났던 소나타형식의 면모는 후기에 작곡된 연가곡 ≪멀리 있는 연인에게≫에서 더욱 발전된 형태로 나타난다. 제1곡과 제2곡은 두 개의 뚜렷한 조성을 통한 조성적 양극성이제시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G4-F-Eb4의 고별3도선은 연가곡의 응집성을 성취하는 도구로사용되지만, 이외에도 소나타형식의 성격을 드러내기도 한다. 즉, 고별3도선의 시작음이자 제시부에 해당하는 제1곡과 제2곡의 머리음인 G4는 제6곡에서 다시 등장함에 따라 재현부적 양상을보인다. 이처럼 베토벤은 ≪멀리 있는 연인에게≫에서 기악형식과의 통합을 보임으로써 가곡에서의 혁신을 꾀하였다.
As some aspects of the sonata form are shown in An die Ferne Geliebte, op. 98 (1816) of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the paper discusses how the instrumental form is being achieved in the work. To do this, I first explore some characteristics of the sonata form in his early songs, Adelaide, op. 46 (1796) and ‘Neue Liebe, neues Leben’ (1799) from 6 Gesänge, op. 75. Some facets of the sonata form shown in these songs are more developed in his later song cycle, An die Ferne Geliebte: In the first two songs, tonal polarity through two distinct keys plays the role of the exposition. Lebewhol 3-line, G4-F-Eb4, is used as a tool to achieve the coherence of the cycle, but it also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ata form. G4, the first tone of the Lebewhol 3-line and Kopfton of the first two songs corresponding to the exposition, exhibits aspects of the recapitulation, as it reprises in the sixth. In this way, Beethoven attempted musical innovation in An die Ferne Geliebte through the integration with the instrumental form.
1. 들어가면서
2. 초기 가곡에서의 기악적 형식
3. ≪멀리 있는 연인에게≫에서 나타나는 소나타형식의 흔적
4. 나가면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