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male supervisors’ authentic leadership and hotel employees’ felt obligation via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Female supervisors’ authentic leadership and hotel employees’ felt obligation via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 171

환대에 있어 여성 리더의 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리더십 스타일과 그것이 직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여성감독관의 진정한 리더십이 호텔직원의 전반적인 직무만족과 의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연구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직원들이 지각하는 상사의 사회적 지원의 조절역할을 추가로 탐색한다. 설문지를 통하여 데이터 수집 당시 여성 감독관과 함께 근무하던 호텔 직원들을 대상으로 총 490건의 유용한 답변을 수집했다. 구조방정식 모형화 결과는 여성감독관의 진정한 리더십이 호텔 직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의무감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직원들의 만족도는 진정한 리더십이 의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했다. 또한 호텔직원들이 지각하는 상사의 사회적 지원은 진정한 리더십과 직원의 만족도, 의무감 사이의 관계를 강화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Despite the large proportion of woman leaders in hospitality, their leadership style and its impact on employees are understudied.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female supervisors’ authentic leadership on hotel employees’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felt obligation. This study further explores the moderating role of employee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udy variables. A total of 490 usable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the hotel employees who were working with a female supervisor at the time of data collection. The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 that female supervisors’ authentic leadership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s hotel employees’ overall satisfaction and felt obligation. Hotel employees’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felt obligation. Moreover, supervisor support perceived by hotel employees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among authentic leadership, employees’ satisfaction, and felt oblig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ology
Ⅳ.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