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유튜브 여행콘텐츠 이용자의 사회적 실재감이 몰입, 만족, 정보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Presence on Flow,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among YouTube Travel Content Users

  • 300
관광연구 제38권 제3호.jpg

본 연구의 목적은 유튜브 여행콘텐츠 이용자의 사회적 실재감이 몰입, 만족, 정보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표본은 편의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유튜브 여행콘텐츠를 시청해 본 적이 있는 성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총 360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SPSS 29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튜브 여행콘텐츠 이용자의 사회적 실재감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튜브 여행콘텐츠 이용자의 사회적 실재감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몰입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만족은 정보공유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튜브를 활용한 관광콘텐츠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유튜브 여행콘텐츠 이용자의 사회적 실재감이 몰입, 만족, 정보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관광콘텐츠 기획, 제작 및 마케팅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향후 관광산업의 실질적인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또한, 지속가능한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는데 동기부여가 되고, 이용자들의 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어 유튜브 등의 여행관련 미디어 콘텐츠 제작 등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Social Presence, Flow,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among YouTube Travel Content Users. A total of 360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using SPSS 29.0 statistical program.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ocial Presence among YouTube Travel Content Users. and Flow. Second Social Presence among YouTube Travel Content Users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Third flow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Fourth ther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 is as follows. This study aims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using YouTube for tourism content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presence on YouTube travel content user's flow,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planning, producing, and marketing tourism content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ourism studies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study seeks to motivate the development of new business models for sustainable tourism industry development and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user attitudes, thereby providing assistance in the production of travel media content and other related area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