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 록평리 유적 석곽묘 석재의 재질특성 및 산지탐색
Investigation of Source Area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Properties from Stone-lined Tombs in Cheongyang Rokpyeong-ri Site, Korea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자원환경지질
- 56권 2호
- : SCOPUS, KCI등재
- 2023.04
- 201 - 215 (15 pages)
청양 록평리 유적에서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및 고려시대에 해당하는 여러 기의 석곽묘가 발굴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15기의 석곽묘를 대상으로 암석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암종과 점유율을 검토하고 석재의 산지를 해석하였다. 석곽묘 부재로 사용한 암석은 흑색 사암, 잡사암, 점판암, 역암 및 편마암 등 5종이다. 전암대자율 측정 결과, 석곽묘와 추정산지의 동종 암석은 모두 같은 범위에 도시되며, 지구화학적 거동특성도 연구대상과 추정산지 석재의 유사성이 높게 나타난다. 석곽묘의 석재는 추정산지 암석과 성인적으로 동일하며, 유적의 기반암과 500m 이내에 분포하고 있어 특별한 조달체계 없이 현장에서 자급자족이 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석재들은 특별한 치석 없이 약간의 할석을 통해 축조한 것으로 판단되나, 일부 석곽묘의 부석시설로는 균질한 흑색 사암을 사용한 것으로 보아 석재의 인위적인 선별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In the stone-lined tombs from Cheongyang Rokpyeong-ri site, several stone-lined tombs corresponding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Unified Silla Period and Goryeo Dynasty were excavated. In this study, the stone properties of petrological,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from 15 stone-lined tombs were analyzed, the rock species and occupation rate were reviewed, also the provenance area was interpreted. There are five types of rocks used as members of the tombs, including black sandstone, greywacke, slate, conglomerate and gneiss. As a result of magnetic susceptibilities, the rocks of the tombs and presumed provenance are all shown in the same range, a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tombs and the source area is high in geochemical behavior characteristics. The stone properties of the tombs are the same as the presumed provenance rocks and is distributed within a 500m around the bedrock of the tombs in the excavation site, so it seems that self-sufficiency was possible on the site without a special procurement system. These stones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constructed through some trimming without any special technique, but some stone tombs have been confirmed to used homogeneous black sandstone at the bottom of the tombs, so it is believed that there were artificial selection of stones.
1. 서 언
2. 연구대상 및 방법
3. 결과 및 해석
4. 고 찰
5. 결 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