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4,number4.jpg
KCI등재 학술저널

콘텍트렌즈로 인한 급성충혈증후군 1예

목적: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발생한 콘택트렌즈로 인한 급성충혈증후군(contact lens induced acute red eye, CLARE)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특이 병력 없는 18세 여자 환자가 4일 전부터 발생한 우안 시력저하, 안구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3달 전부터 양안에8시간 이상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으며,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로 숙면을 취한 적이 있었다. 세극등검사에서 우안에 전반적인 결막충혈, 각막윤부 충혈과 함께 각막상피층의 부종, 점상의 각막기질침윤이 관찰되었다. 우안 나안시력은 0.02 (20/1000), 교정시력은0.16 (20/125), 안압은 10 mmHg였고, 좌안은 뚜렷한 이상 소견이 없었다. 콘택트렌즈 착용을 중단하고, 스테로이드와 항생제 점안약, 인공누액을 사용하여 치료 1일째 교정시력 0.5 (20/40), 2달째 교정시력 1.0 (20/20)으로 측정되었고, 결막 및 각막은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결론: 콘택트렌즈로 인한 급성충혈증후군은 미생물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각막염과의 감별이 중요하며, 콘택트렌즈 착용 중단과함께 일반인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취급 및 사용에 대한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To report a rare case of acute red eye in a contact lens user. Case summary: An 18-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and ocular pain in the right eye for 4 days. The patient had used contact lenses for > 8 hours a day, even while sleeping at night, for the past 3 months. Corneal epithelial edema and punctate stromal infiltration along with diffuse conjunctival hyperemia and corneal limbal injection in the right eye were observed in slit lamp examination. The uncorrected and corrected visual acuities of the right eye were 0.02 (20/1000) and 0.16 (20/125), respectively. The right eye had an intraocular pressure of 10 mmHg, and the left eye was within normal range. The patient stopped wearing contact lenses and was prescribed steroid and antibiotic eye drops and artificial tears. The corrected visual acuity increased to 0.5 (20/40) on the first day of treatment and to 1.0 (20/20) after 2 months. The cornea and conjunctiva also returned to the normal appearance.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contact lens-induced acute red eye from microbial keratitis. Discontinuation of contact lens use and education are required to prevent acute red eye caused by contact lens use.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