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새김기법을 활용한 도자 표현 사례를 살펴보고자 전통 도자와 선행연구에 나타난 새김기법의 종류와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먼저 새김기법의 의미와 기원을 살펴보고 고려청자의 새김기법과 선행 논문에 나타난 새김기법의 다양한 종류와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새김기법의 범위를 정하고 음각, 양각, 투각, 양음각(복합)기법으로 구분하여 각 기법에 따라 특징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현대 도자 표현 사례 연구를 위해 현대 도자 작가의 작품을 선정하여 현대 도자에 나타난 새김기법의 차이와 주제별 특징을 고찰하였다. 기법에 따른 분석을 위해 각 작품에 나타난 새김기법의 종류와 특징, 새김기법의 활용도를 분석하였으며 주제에 따른 분석을 위해 현대 도자와 전통 도자에 나타난 기물의 형태와 문양 및 조형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통 도자와 현대 도자의 새김기법은 유사하지만 기물의 문양과 형태, 사용한 도구, 제작 과정, 결과물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전통 도자는 귀족 문화와 같이 시대적인 특징을 살린 섬세한 새김기법이 돋보이는 우아한 조형미와 견고한 실용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현대 도자는 작가의 개성을 살린 창의적인 작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새김기술의 도구가 다양화되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재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새김기법을 활용한 도자 표현 연구를 위한 발전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examples of expression using engraving techniques on ceramics. It explor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ngraving techniques found in traditional ceramics and reviews previous studies. First, the meaning and origin of engraving techniques were examined, and variou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ngraving techniques as found in Goryeo celadon and through previous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is work the scope of engraving techniques was described and categorized, labeling the techniques as engraving techniques with Incised, In relief, Openwork, and Compound engraving techniques. In the next stage examples of contemporary ceramic expression were selected from the work of contemporary ceramics to examine their differences and thematic characteristics.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ir techniqu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ngraving techniques used in each work and their utility were analyzed. In the analysis based on themes the forms, patterns,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eram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engraving techniques i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eramics are similar, the patterns and forms of the pottery, the tools used,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results are different. Traditional ceramics exhibits the elegant aesthetics and robust practicality that reflec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 - such as the culture of the nobility with profoundly delicate engraving techniques. On the other hand, contemporary cermics was characterized by creative work reflecting an artist's individuality.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engraving tools has increased in the completion of the work and has surpassed the limits of the materials. Based on this the thesis suggests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ceramics expression using engraving techniques.
Ⅰ. 서론
Ⅱ. 새김기법의 개념과 종류
Ⅲ. 현대 도자 표현 사례
Ⅳ. 분석 및 방향성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