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 Precautions Knowledge and Standard Precautions Compliance of Nursing Students: The Meadiating Subjective Norms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제40권 제2호
-
2023.04322 - 331 (10 pages)
-
DOI : 10.12925/jkocs.2023.40.2.322
- 이용수 84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과의 관계에서 주관적 규범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J도에 소재한 3개 대학교의 임상실습을 완료한 4학년 간호학과 재학생 195명이다. 수집된 자료로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규범은 표준주의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고, 표준주의 수행을 설명하는 설명력(R²)은 35%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수행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표준주의 지식 함양 및 이를 통해 주관적 규범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nor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s precautions knowledge of and of standards precautions compliance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5 senior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clinical practice at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J province. As a result of the study, subjective norm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tandards precautions knowledge and standards precautions compliance. And the explanatory power (R2) explaining the standards precautions compliance was 35%.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standards precautions compliance in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s precautions knowledge and prepare effective strategies to induce subjective norms through it.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7)
- 노인의 재활 필라테스 운동이 낙상 예방 효과에 대한 고찰
- 『산해경·오장산경』 수해 캐릭터 유형 특성에 관한 분석 연구
- 중년여성의 건강행위이행 영향 요인
- 오일샌드 테일링 처리 동향연구
-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운동만족,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 편백 오일의 항주름, 피부 장벽 및 보습능 평가
- 간호사의 대인관계 능력이 재직 의도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유소년 축구클럽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효과성 검증
- 두룽족 여성의 얼굴 문신 문화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 간의 관계
- 계획된 행위 이론에 근거한 중장년층의 헌혈 의도 영향요인
- 머위(Petasites japonicus)의 피부장벽과 항염증 효과
- 인간 피부각질세포에서 Hydrogen peroxide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붉은 토끼풀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
- 가상현실 스포츠실 수업의 프레즌스 경험이 즐거움, 몰입 및 스포츠 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무중력 운동기구를 활용한 하이플랭크 운동의 효과성 검증
- K-뷰티 브랜드의 CSR동기가 CSR 진정성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 난소절제 쥐에서 비만과 지방조직 염증에 대한 제니스테인과 운동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