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NGO연구 제18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기업의 ESG 심화를 위한 NGO의 과제

The Role of NGOs for Strengthening ESG in Korean Business Enterprises: With Special Reference to Stakeholder Capitalism

  • 226

이 글은 한국의 기업이 ESG를 심화하기 위한 NGO의 과제를 검토하고 있다. 오늘의 복합위기 시대에 기업이 탄소중립이란 도전아래 생존하기 위해서 ESG는 필요불가결하다. 필자는 자본주의의 정치대표체계와 이해조정체계의 분석틀에 따라 주주 자본주의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차이점을 대조한다. 주주 자본주의는 자유 시장경제를 기반으로 국가와 사회 관계가 사회 다원주의를 취한다. 주로 대통령제아래 지역구 기반의 선거제가 특징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는 조정된 시장경제를 기반으로 국가와 사회 관계가 사회 코포라티즘을 취한다. 주로 내각제아래 비례대표제가 특징이다. ESG가 내장되어 있는 유럽식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와 달리 영미식 주주 자본주의가 ESG를 필요로 하는 이유이다. 한국에서 기업이 추진하는 ESG는 한계가 있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한국의 자본주의가 주주 자본주의에 기초하고 있는데 여기에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얹으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NGO는 조직과 자원에서 기업에 비해 역량이 떨어지지만 ESG 심화를 위하여 시민사회에 대한 계몽을 통해 기업을 감시하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필자는 ESG 강화를 위한 NGO와 기업 사이의 ‘비판적 협력’을 제안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NGOs play for strenthening ESG in Korean business enterprises. In a global polycrisis, ESG is imperative for companies to adhere to carbon neutrality for future survival. I compare shareholder capitalism and stakeholder capitalism within the analytic framework of political representation system and interest intermediation system. Shareholder capitalism is grounded on free market economy where the state incorporates different group interests based on social pluralism. It is, by and large, characterized by local constituencies within the presidential system. In contrast, stakeholder capitalism runs on coordinated market economy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society can be seen as social corporatism. It is usually marked by proportional representation under the parliamentary system.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Anglo-Saxon shareholder capitalism needs ESG unlike the European stakeholder capitalism with ESG already embedded. There is a limit to ESG propelled by Korean companies.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he fact that business enterprises are not ready to adopt stakeholder capitalism. Although Korean NGOs fall behind business enterprises in many capacities including resources and organization, the latters need to be monitored by the former that enlightens civil society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advantages of stakeholder capitalism. In conclusion, I propose a “critical cooperation” between NGOs and business enterprises for consolidating ESG.

Ⅰ. 머리말

Ⅱ. 복합위기: 탄소중립의 도전

Ⅲ. 변화하는 시민사회: 국가와 시장 사이에서

Ⅳ. ESG의 정치경제학

Ⅴ. 결론: NGO의 과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