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역사지리 제35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주를 보는 근대적 시선의 형성

A Modern Way of Seeing Jeju: The Discourse of ‘Paradise Jeju’

DOI : 10.29349/JCHG.2023.35.1.49
  • 173

근대이전 조선시대에 제주를 보는 방식은 ‘풍경(경관)의 심미성, 풍토의 척박함, 풍속의 소박함’으로 요약할 수있다. 일제강점기에 제주를 보는 새로운 시선—낙원제주담론—이 출현하여, 조선시대 영주십경을 대체하고 20세기후반까지 ‘파라다이스 제주’ 상징경관의 기초를 형성했다. 이는 자본주의와 산업화의 맥락에서 제주도의 풍토와 자원이 가진 산업적 가능성과 잠재력이 재평가되는 과정이었다. 이국적인 관광매력지로서의 제주경관의 이미지는 해방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제주의 발전은 척박한 환경을 극복한 제주민들의 고난의 역사로 이해되어 왔다. 조선시대 ‘육지’ 유학자들이 제주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풍토적 사고에 의하면 제주는 척박한 땅이었고이는 제주인들의 빈곤의 원인이었다. 표면적으로 일제강점기 일본에 의해 주조(鑄造)된 낙원제주의 관점은 조선시대 기후결정론-풍토론의 완전한 전도이며, 식민주의적 기획이자 새로운 ‘발명’으로서의 근대적 시각인 것으로 보일수 있다. 낙원제주담론은, 조선시대 제주도에 대한 풍토적 사고와 제주도를 보는 당대의 낭만주의적 시각-‘제주 헤테로토피아’-사이에 연결고리로 역할하고 있으며, 이는 또한 21세기 제주발전과 제주정체성 형성의 새로운 비전을 고민하는데 중요한 참고가 될 수 있다.

The way of seeing Jejudo before the modern era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summarized as ‘the aesthetics of scenic landscapes, the barrenness of the climate, and the vulgarity of custom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a new way of seeing Jejudo’—the discourse of ‘Paradise Jeju’—appeared, replacing the Ten Scenes of Yeong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forming the basis for the symbolic landscape of Jeju Island until the late 20th century. This was a process in which the industrial potential of Jeju’s climate and resources were re-evaluated in the context of capitalism and industrialization. The image of Jeju’s scenery as an exotic tourist attraction continued even after the liberation. However, the development of Jejudo has been understood as a history of hardships for Jeju residents who overcame a barren environment. According to Confucian scholars on the main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do was a barren land, and this was the cause of the Jeju people’s poverty. The discourse of Paradise Jeju coined by Japan can be seen as a complete reversal of the climate determinism-the theory of 風土 of the Joseon Dynasty, and as a colonial project as well as a modern perspective as a new ‘invention’. Paradise Jeju discourse serves as a link between endemic environmentalist thoughts on Jeju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temporary romantic perspectives on Jeju, which can also be an important reference for contemplating a new vision for the development of Jeju in the 21st century and the formation of Jeju identity.

1. 서론

2. 20세기 후반 ‘낙원제주’의 이미지

3. 일제강점기 낙원제주담론의 형성

4. 일제강점기 식민·투자전략과 낙원제주담론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