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A Study of Applying Story Drama for Dramatic Inquiry

‘드라마적 탐구’를 위한 스토리 드라마 방법 연구

  • 2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9호.jpg

목적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적 탐구’의 개념을 밝히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스토리 드라마 적용 방식을 탐구하고, 실제 수업에서 실현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드라마적 탐구’와 ‘스토리 드라마’에 대한 문헌 연구를 하고 6명의 교강사들에게 스토리 드라마를 적용하였다. 스토리 드라마를 통해 ‘드라마적 탐구’가 구현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는 ‘사례연구’ 방법으로서 특정한 한 대상(개인, 프로그램, 기관 또는 단체, 어떤 사건)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는 주제가 적용된 사례를 찾아 분석하는 연구이다. 결과 6명의 교강사들에게 스토리 드라마를 적용한 결과 대화적이고 발생적인 ‘드라마적 탐구’가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이전에는 구성하지 못한 의미들을 다른 참가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새롭게 생성적 의미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신만이 구성하는 창의적 사고를 형성하고, 대화에서 비판적 사고를 형성하였다. 결론 ‘드라마적 탐구’는 드라마에서 구현 가능한 독특한 의미구성 방식으로, 스토리 드라마를 통해 적용했을 때 실현성이 높아진다. 스토리 드라마의 다양한 상황이나 이슈가 ‘드라마적 탐구’를 위한 소재를 제공하는데, 특히 참가자들에게 메타포적 의미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스토리 드라마는 ‘드라마적 탐구’를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돕는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drama inquiry’ was revealed, the method of applying story dramas was explored, and the process realized in actual classes was analyzed. Methods To this end, a literature study on ‘drama inquiry’ and ‘story drama’ was conducted, and story drama was applied to six participant teachers. The aspect of ‘drama inquiry’ being implemented through story dramas was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applying story dramas to six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drama inquiry’ was possible. Participants constructed new generative meanings through dialogue with other participants which they could not construct before. Conclusions ‘Drama inquiry’ is a unique way of constructing meaning that can be realized in a drama, and its feasibility increases when applied through story dramas. Various situations or issues of story dramas provide materials for ‘drama inquiry’, especially story dramas that enable participants to construct metaphorical meanings help operate ‘drama inquiry’ efficiently.

Ⅰ. 서론

Ⅱ. 드라마적 탐구(dramatic inquiry)

Ⅲ. 드라마적 탐구를 위한 스토리드라마

Ⅳ. 드라마적 탐구를 위한 스토리드라마 구성 원리와 기법

Ⅴ. 드라마적 탐구를 위한 스토리드라마 구성

Ⅵ. 드라마적 탐구를 위한 스토리드라마 적용 및 분석

Ⅶ.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