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 향유를 위한 학교 음악교육에서의 문화유산교육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Schools for the Enjoyment of Culture

DOI : 10.29028/JNGC.2023.47.119
  • 70

본 연구는 문화유산교육이 ‘문화 향유’로 이어져야 한다는 관점에 따라 학교 음악교육에서의 문화유산교육의 방향을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 향유의 개념을 ‘문화를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경험하고자 하는 개인의지적, 정의적, 실천적 과정 및 그 결과’로 정의하고, 문화 향유의 속성을 ‘능동성, 긍정적 정서, 참여’의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학교 음악교육에서의 문화유산교육 현황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조사하기ㆍ발표하기’ 중심의 교육과정 성취기준’, ‘‘감상’과 ‘가치 인식’에 한정된 교육과정 성취기준’, ‘자료 제시 및 정보 전달에 편중된 교과서 내용’, ‘문화유산 학습을 위한 음악적 경험 제공 미흡’의 문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문화 향유’라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가는 주체의 양성’을 위한 문화유산교육의 목표 정립’, ‘‘향유’ 중심의 문화유산교육의 내용 체계 설정’, ‘참여적 문화유산 학습에 기반한 문화 향유력 제고’의 세 가지 측면에서 문화유산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음악교육에서의 문화유산교육이 학습자들의 문화 향유력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는문화유산의 개념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비롯하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음악 교과서 개발, 문화유산교육과 관계된기관과의 협력 등의 제반 노력이 필수적으로 따라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eaching cultural heritages at the music class in schools following the perspective that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lead to ‘cultural enjoyment’.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cultural enjoyment that can be applied in school education is considered as ‘the intellectual, emotional, practical process and its results that an individual actively seek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culture,’ and three attributes of ‘activity, positive sentiment, and participation’ are presented as those of cultural enjoy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schools, the following problems were identified: ‘curriculum standards centered on research and presentation,’ ‘curriculum standards limited to appreciation and value recognition,’ ‘textbook contents biased towards data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and ‘inadequate provision of musical experiences for learning cultural heritages.’ To solve such problems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goal of 'enjoying culture' in school education, we propose three aspects in cultural heritage education: establishing goals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that promote the development of 'subjectivity in creating'; setting up a content framework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centered on 'enjoyment'; and enhancing the ability to enjoy culture based on participatory cultural heritage lear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need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school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learners' ability to enjoy culture,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for this. To solve the problems raised in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achieve social consensus on cultural heritage, revise national education curricula, develop music textbooks, and cooperate with institution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education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Ⅲ. 학교 음악교육에서 문화유산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Ⅳ. 문화 향유를 위한 문화유산교육의 방향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