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성악 분야에서는 대부분 가사를 노래할 때 모음이나 종성인 받침을 풀어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종묘제례악 악장을 노래할 때는 중모음을 풀어서 발음하지 않는 경향과 종성에서 몇 개의 유성자음의 받침은 물어서 발음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선왕의 공덕을 직접적으로 찬양하므로 가사가 지닌 의미가 크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그런데 종묘제례악 악장의 가사로 사용되는 /기/는 경우에 따라서 단모음인 /기/와 중모음인 /긔/로 노래하는데 한문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한문을 쓰고 있어도 두 가지로 발음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 중모음이 표기된 전운옥편에 근거하여 종묘제례악 악장의 뜻을 풀이하여 음을 맞추어 보았더니 악장의 가사로 사용된 /기/의 8개의 한문 21 가지 중 4개의 한문(其, 基, 幾, 機)에서 수정사항을 발견하였다. 종묘제례악 악장의 한문가사 /기/를 노래할 때 단모음/기/나 중모음 /긔/로 그 뜻에 맞추어 발음을 수정하는 것이 전통을 바르게 계승하는 방법일 것이다.
In many cases of traditional vocal genres, the lyrics are sung in the way of pronouncing all the vowels and consonants composed of one syllable in a distinguishable way. When akjang (song lyrics in the form of a poem) of the jongmyo jeryeak (court music performed in the rites for royal ancestors) is sung, however, there is a tendency not to disjoint single vowels of a diphthong and final consonants of particular voiced consonants. This is speculated to be because the lyrics have a great meaning since they directly praise the virtues of the king. However, 'gi ' used in the lyrics of the jongmyo jeryeak 's akjang is sung as a single vowel 'gi ' or a diphthong 'gui ' depending on the case. It is not depending on Chinese characters, but is pronounced in two ways even if the same Chinese character is used. As a result of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jongmyo jeryeak's akjang based on the Chinese dictionary Jeonun okpyeon in which diphthongs are written, four Chinese characters (其, 基, 幾, 機) to be corrected were found among eight Chinese characters of 'gi ' appeared 21 times in the lyrics of the akjang . When singing the Chinese lyrics 'gi' of the jongmyo jeryeak's akjang, correctly pronouncing as a single vowel 'gi ' or a diphthong 'gui' depending on the meaning would be the right way to inherit the tradition.
Ⅰ. 서론
Ⅱ. 본론
1. 종묘제례악 악장 가사 /기/ 분석
2. 단모음 /기/와 중모음 /긔/로 발음하는 용례
Ⅲ.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