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Chauvat의 그래프 사용 모드에 근거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이차함수 문제해결에서 나타나는 그래프 표상의 사용 모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분석으로부터 Bannister (2014)의 표상의 유연성을 통해 연구 참여 학생들의 이차함수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그래프 표상 모드는 계산 도표학적 모드이며, 조작적 모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오류를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함수의 이해를 대상과 과정 관점에서 표상의 사용으로 분류한 Bannister(2014)의 유연성의 분류에서는 과정 관점으로 함수를 이해하고 두 표상 사이에 조작이 일어나지 않는 경직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실에서 학생들을 위한 그래프 표상 사용에 대한 교육 및 다양한 관점으로 함수를 이해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s modes related to use of graph representation that appears to solve high school students quadratic function problem based on the graph using modes of Chauvat. It was examined the extent of understanding of the quadratic fun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flexibility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Bannister (2014) from the analysis. As a result, the graph representation mode in which a high school students are mainly used is a nomographic specific mode, when using operational mode, it was found to be an error. The flexibility of Bannister(2014) that were classified to the use of represent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object and the proces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was constrained operation does not occur between the two representations in understanding the function in the process of perspective. Based on these results, the teaching on use graph representation for the students in classroom is required and the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an understand the func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is need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