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공간 감각의 향상을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수학 교과서에 ‘연결큐브’를 사용한 활동을 새롭게 도입하고 의사소통과 구체적 조작을 통한 교수 학습 방법을 강조하였다.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과 면담 분석 결과 공간 대상에 대한 표현 체계의 부재로 연결큐브 수업의 문제해결과 의사소통 측면에서 교사가 지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거북표현체계’를 제시하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과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해결과 의사소통 측면에서 거북표현체계의 효과와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2009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have inserted mathematical ‘linking cube’ activities in the 6th grade math classes to improve students’ spat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we found that it was hard for teachers to teach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due to the absence of mathematical way of representing linking cubes in the classroom. In this paper, we propose 3D ‘turtle representation system’ as teaching and learning tools for linking cube activities. After using turtle representation system for linking cube activities, teachers responded that turtle representation system is a valuable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tools for the linking cube mathematics classes. We conclude that turtle representation system is a well designed teaching and learning tools for linking cube activities, and there are lots of educational meanings in the 3D turtle representation system.
Ⅰ. 서론
Ⅱ. 연결큐브 차시 분석과 공간 인지 전략
Ⅲ. 거북표현체계와 연결큐브 교수학습
Ⅳ. 연구방법
Ⅴ. 결과 분석 및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