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상품학연구 제41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에듀테크 기반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고등학교 융합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성과

Developing High School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gram Based on Edutech for Solving Environmental Issues and Its Educational Achievement

DOI : 10.36345/kacst.2023.41.2.002
  • 134

본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크에 기반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고등학생 대상 융합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교육성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에 연구 진행을 위해 문헌 조사와 실태 조사를 진행하고, 고등학교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통합과학교과, 기술교과와의 융합디자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지역사회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앱 디자인 수업 6차시를 개발하여, 융합교육 전문가 3인과 에듀테크 기술 전문가 3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 및 보완하여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다. 2021년 8월부터 9월까지 경기도 소재 M고등학교 1학년 8개 학급 14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6차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이중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에 전부 참여한 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평가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사전·사후 검사값이 고르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나 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교육 결과가 나왔으며, 그중에서도 소통 영역은 평균 2.67에서 사후 2.85로 증가하였고, 이공계 진로 선택 영역 또한 사전 평균 2.57에서 사후 평균 2.7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t=2.39, p= .02)을 보였다. 전체 요인에서 사전 검사(M=2.55)보다 사후 검사값(M=2.63)이 .08점 증가하여 교육 효과가 있는 것이 검증되었다(만점 4.00). 8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유사 주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발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of convergence design classe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based on Edutech for high school students. To proceed with this study, a literature search and fact-finding conducted. It was conducted as a convergence design class of science and technology subjects, centering on the high school art subject. The program developed as the theme of the app design class for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local community. The contents of the clas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the advice of 3 experts in convergence education and 3 experts in Edutech technology to compose the course content. From August to September 2021, 6 lessons conducted for 148 students in 8 classes in the first grade of M High School in Gyeonggi-do. As a result of the pre-and post-analysis results, a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for all 73 respondents. As the pre-and post-test values improved even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ducational result was obtained in all area. The communication area increased from the pre-mean of 2.67 to the post-test of 2.85, and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 selection area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2.39, p= .02) from the pre-mean of 2.57 to the post-mean of 2.73. In all factors, the post-test value (M=2.63) increased by .08 points compared to the pretest (M=2.55), confirming that there is an educational effect (perfect score of 4.00). Sinc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from eight classes,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but I hope that continuous research on similar topics can be developed.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VI.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