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상품학연구 제41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콘텐츠 상품의 무역경영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de Management perspective of Cultural Content Product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Netflix TV show <Squid Game>

DOI : 10.36345/kacst.2023.41.2.015
  • 321

본 연구는 글로벌 시장을 위한 문화콘텐츠 상품의 제작과 유통이 새로운 디지털 무역시대에 무역경영학적으로 어떠한 시사점을 가져다주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2021년 9월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에 방영되어 53일 동안 세계 1위를 기록한 TV 쇼 <오징어 게임>을 선정했다. 디지털 전환시대 속에서 전통적인 무역의 의미가 크게 달라지고 있다. 기존 무역의 주 거래대상이던 유형제품 이외로, 디지털 무역시대에는 문화와 관광, 그리고 데이터, 금융에 이르기까지 무역거래 대상이 완연하게 다양 및 확장되었고, 대면방식과 물리적 거래를 기반으로 했던 국제무역환경도 비대면, 디지털 거래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넷플릭스라는 글로벌 플랫폼을 통한 디지털 방식의 문화콘텐츠 거래와 성공은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 특히 엔터테인먼트 영역에 무역경영에 관한 새로운 관점과 전략적 접근방식을 제시해준다. 이에 본 연구는 넷플릭스의 제작과 유통으로 이뤄진 <오징어 게임> 사례분석을 통해 디지털 무역시대, 문화콘텐츠가 세계시장에서 성공적으로 거래되기 위해 살펴봐야 할 논의들을 무역경영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글로벌 시장을 하나의 단일 시장으로 보고 효율성에 기반한 접근이 요구되는 ‘글로벌 전략(Globalization)’ 및 현지 시장별 맞춤형 전략이 요구되는 ‘현지화(Localization)’ 접근을 모두 살펴보고, 글로벌 시장 성공의 필요 조건으로서 ‘초국가(Transnational) 전략의 적용가능성도 함께 논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무역 및 디지털 통상을 연구하는 학자, 정부와 정책입안자를 비롯하여 문화 혹은 엔터테인먼트, 문화트렌드, 글로벌 경영 전략을 연구하는 학자, 문화정책을 수립하는 정책입안자, 문화콘텐츠를 즐기는 일반인, 문화콘텐츠 상품을 취급하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에 문화적·무역경영학적 다양한 통찰력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al content products for the global market bring in terms of trade management in the new digital trade era. To this end, the TV show <Squid Game>, aired worldwide through Netflix in September 2021 and ranked first in the world for 53 days,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for this study.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meaning of traditional trade is changing significantly. In addition to tangible products, which were the main trading targets of existing trade, in the era of digital trade, trade targets have been substantially diversified and expanded, ranging from culture and tourism to data and finance. The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which was based on face-to-face and physical transactions, is also transitioning to non-face-to-face, digital transactions. Especially the trading and success of digital cultural content through the global platform of Netflix presents a new perspective and strategic approach to trade management not onl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but also in the service industry, especially in the entertainment sector. In this regard, this study looks at the discussions that need to be looked at for cultural content to be successfully traded in the global market in the digital trade era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Squid Game>, which was produced and distributed by Netflix, from a trade management perspective.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both the 'globalization' approach, which views the global market as a single market and requires an efficiency-based approach, and the 'localization' approach, which requires a customized strategy for each local market.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success, the 'transnational strategy' applicability was also discussed. Therefore, this study can provide various insights on cultural and trade management to scholars studying digital trade & commerce, government and policy-makers, scholars and companies studying culture or entertainment, cultural trends, and global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 general public who enjoys cultural content and culture itself.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오징어 게임> 사례 분석

IV. 시사점 및 제언: <오징어 게임>의 무역경영학적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