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중앙아시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앙아시아 협력 방안

  • 28

본 연구의 목표는 가일층 심화하는 글로벌 불확실성하에서 한국과 중앙아시아 양자의 미래 협력 방향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쉽사리 해결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 강대국의 패권 경쟁과 대립 속에서 이른바 경제 안보의 전략적 가치가 높아지면서 글로벌 가치사슬이 파편화되는 시대적 흐름을 맞이하고 있다. 희소한 천연자원과 상대적으로 풍부한 양질의 인적자본을 가지고 있는 우리 경제에 있어 무역을 통한 시장 확대와 국제 분업을 통한 자원 배분의 효율성 증진은 오랫동안 경제성장의 밑거름이 되어왔다. 따라서 한치도 예측하기 어려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심화하는 작금이야말로 시대에 맞는 새로운 대외 협력체계 구축이 더욱 절실한 시기이다. 특히 대러 경제제재 장기화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러시아와 유럽을 잇는 중앙아시아의 지경학적 가치는 더욱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풍부한 천연자원 및 비교적 젊은 중앙아시아의 인구구조를 감안하면 중앙아시아와의 협력 확대는 더욱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아시아 5개국을 개별 국가의 발전도상을 기준으로 각국 경제의 구조적 특성에서 드러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토대로 3개의 중소득국(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과 2개의 저소득국(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구분을 통해 중앙아 중소득국과 저소득국이 지속 성장을 위해 해결해야 하는 성장 문제를 더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가 이들 국가와 어떤 방향의 협력이 필요한지 거시적인 차원의 답을 더 수월하게 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보고서의 2장에서는 중앙아시아 각국의 장기 성장과제를 식별하였다. 우선 중앙아시아 중소득국인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그리고 투르크메니스탄의 성장과제는 산업구조 다각화(diversification) 및 산업구조 고도화(advancement)로 정리된다. 고도성장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고부가가치 제조업 발전이 늦은 상황이다. 중·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산업구조 전환 지연은 중앙아시아 중소득국의 발전 도상에서 장기 성장에 필수적인 질적 성장(qualitative growth)을 저해한다. 이렇게 되면 이른바 “중소득국 함정(middle- income trap)”에 빠져 성장 지체가 만성화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중앙아시아 저소득국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의 성장과제는 물적 자본(physical capital) 축적을 통한 산업기반 확충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물적 자본을 조속히 확충하여 산업기반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주변국에 노동력을 직접 수출하는 것이 아니라 식품·의류와 같은 노동집약적 경공업 상품에 노동력을 내재(embed)하여 해외 시장에 판매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 산업기반을 형성하여야 한다. 주변국 대비 상대적으로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함으로써 자국 경제발전 단계에 부합하는 산업기반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the future directions of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amid rising global uncertainty in the face of competition and confrontation between significant powers with no resolution in sight, and as the strategic value of economic security increases. We are facing a period of fragmentation of the global value chain. Korea’s economy, which has scarce natural resources and relatively abundant high-quality human capital, has long relied on expanding markets through trade and increasing efficiency through resource allocation through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s the foundation of economic growth. Therefore, in the current era of increasing global economic uncertainty obscuring even near-future prospects, it is an urgent time to establish a new external cooperation system more appropriate for the times. Especially in the situation where the sanctions on the Russian economy are expected to be prolonged, the geographic value of Central Asia, which connects Russia and Europe, has become more prominent.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ich natural resources and relatively young population structure of Central Asia, expanding cooperation with Central Asia has even mor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is study, based on the developmental level of each individual country, we classified the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into three middle-income countries (Kazakhstan, Uzbekistan, Turkmenistan) and two low-income countries (Kyrgyzstan, Tajikistan) based on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revealed i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s economy. This classification enables us to more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growth issues that Central Asia’s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need to resolve for sustained growth, and to provide macro-level answers for the direction of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hese countrie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제2장 중앙아시아 경제 현황

1. 중앙아시아 경제발전 현황

2. 한-중앙아 교역 현황

3. 한-중앙아 중·장기 협력 방향

제3장 디지털 전환과 협력

1. 중앙아시아의 디지털 산업 현황

2. 중앙아시아의 디지털 발전전략

3. 디지털 전환 협력 방향

제4장 기후변화 대응

1. 중앙아시아의 기후변화 대응 배경과 필요성

2. 중앙아시아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

3. 기후변화 대응 협력 방향

제5장 개발 및 보건 협력

1. 중앙아시아의 보건·의료 현황

2. 중앙아시아의 보건·의료 발전전략

3. 보건·의료 협력 방향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 주요 내용 요약

2. 한국의 협력 방향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