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황지현과 고은성(2018)에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발견한 수학에 대한 태도가 다른 5개의 학생 그룹을 이용한 후속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및 수학 학습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강한 학생들(프로파일 그룹 1과 그룹 2)이 수학 학습 포기를 결심할 가능성이 높다고 가정하고, 이들의 부모의 교육 수준, 학교 숙제, 사교육, 가정 자원, 학교 소속감, 집단 괴롭힘, 성취도에 대해 기술통계량, 카이제곱검정,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자신의 성취도를 향상시키고자 할 때 가정 자원이 제한적이라면 수학 학습을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 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충분한 가정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 수업 외의 추가 학습을 하고 가정 자원을 사용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성취도가 향상되지 않을 때 학생들은 수학 학습을 포기할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is research is the follow-up study of Hwang & Ko (2018), in which five different motivational profiles are identified. Considering students with negative motivational constructs (profiles 1 and 2 in Hwang & Ko, 2018) have high potential to perceive them as students who give up on learning mathematics, we examined parents’ education levels, how to do homework and extra lessons, home resources, sense of school belonging, student bullying, and achievement by motivational profile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ests, and ANOVA. The findings showed that students would avoid learning mathematics if they have limited home resources while they want to improve their achievement. However, having enough home resources is not enough. If students are not able to see the improvement in their achievement despite their efforts to take extra lessons and spend their home resources, they would also be students who give up on learning mathematics potentially.
I. 서론
II. 수학 학습 포기 관련 변인으로서의 가정 자원과 학교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VI.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