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외국의 중등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통계 영역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Ways to Improve Statistics Curriculum by Analyzing Secondary Curriculum in Foreign Countries

  • 97
대한수학교육학회-학교수학a.jpg

본 연구는 외국의 통계교육과정에서 통계 교육의 방향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성취기준이나 학습 내용에 대하여 무엇을 지도하고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하는지 명시한 내용을 탐색하여 우리나라 통계교육과정의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뉴질랜드, 미국 California주, 싱가포르, 영국, 일본, 중국, 캐나다 British Columbia주, 핀란드, 호주, International Baccalaureate의 10개 중등 통계 영역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에 따라, 통계 영역 도입에서 빅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소양을 위해 패턴과 관계 발견, 자료기반 논증, 변이성 탐구를 다룰 것을 제안하였다. 통계교육 내용에서는 점그래프, 상자그림, 사분위범위를 도입할 것을 제안하며, 그래프의 표현과 해석, 대푯값과 산포도, 상관관계, 자료 수집과 표본, 통계적 추정 내용에서 교수ㆍ학습 유의사항을 더 정교하게 제시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통계 내용이 반복되고 점진적으로 심화될 수 있는 교육과정 설계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improve Korean statistics curriculum by exploring what aspects statistics are viewed in foreign statistics curriculum, what is given on achievement standards or learning content, and what points should be paid attention to. Statistical curricula were analyzed in 10 countries, including New Zealand, California USA, Singapore, England, Japan, China, British Columbia Canada, Finland, Australia and International Baccalaure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 to deal with pattern and relationship discovery, data-based argumentation, and exploration of variability for literacy to deal with big data in the field of statistics according to the document system of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t is suggested to introduce dot plots, box plots, and interquartile ranges in the contents of statistics education, and further elaborate Guideline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of graphs, representative values and scatter plots, correlations, data collection and samples, and statistical estimation. Finally, we proposed that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to ensure that the content of statistical education continues to deepen.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