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습 위계에 따른 수학과 평가ㆍ보정 모델을 중학교 1학년 함수 영역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수학 학습결손 진단 및 보정교육의 효과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보정교육의 효과성 검증은 양적인 방법과 질적인 방법을 혼용하였다. 양적인 방법으로는 형성평가와 재평가 점수의 평균 차이를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 결과, 보정교육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참여교사의 수업일지를 부호화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는데, 이로부터 학습 위계에 따른 수학 학습결손 정보, 학습 곤란도, 학습에서 어려움의 원인에 대한 정보, 학습 위계에 따른 자료 제시 방법, 정규 수업시간에 모델의 활용가능성, 수학 학습결손 지도에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정보 등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학 평가·보정 모델 적용에 관한 시사점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apt to the educational fields a developed mathematics assessment and correction model according to the mathematics learning hierarchy. Moreover,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such as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mathematics assessment and correction model and the precautions when applying the model.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of developed mathematical assessment and correction materials, assessment and correction materials were analyzed. First, after applying the correction education, the paired t-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to examine the change in students' achievement. In addition, the rate of incorrect answers for each item of the formative assessment, re-assessment, and diagnostic tool was analyzed. This was done to identify which concepts students are struggling with. Moreover, teaching journal data of teachers applied to the field were organized and interpreted by the school level. The mathematics assessment and correction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expected to build an effective guidance system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defici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ort for the management of underachievers and to provide guidance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a lack of math learning.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