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생 진로를 고려한 과목선택권 확대를 위해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개정하였으며, 수학과에서도 일반/진로 선택 과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을 앞두고 학생의 과목선택권 보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과목선택권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 교육과정 변화와 외국의 수학 과목 구성과 대입 과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전국 1,709개의 일반 고등학교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현황과 시도별 공동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학생이 진로에 맞게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과목 및 진로트랙 마련과 함께,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하되 꼭 필요한 내용은 배우고 진학할 수 있도록 대학 필수 과목 지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수학 과목 선택으로 인한 성적 불이익 방지 제도 개선, 이수 경로와 과목 구성의 현실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has been designed to support students’ selection of subjects considering the student's career path, and the mathematics department also organized general/ career elective cour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nsuring students' choice of subjects ahead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irst of all, focusing on subject options, I looked at the changes in Korean curriculum, composition of foreign mathematics subjects, and college entrance subjects, and the current status of ‘selective- oriented curriculum' in 1,709 general high schools nationwide and status of co-curriculum operation by education board of city or province. Several implications have been derived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elective subjects and career tracks should be prepared so that students can choose their co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path, and that universities should designate essential subjects so that students can learn what they need and go to college.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hat improvements in the system to prevent grades from being disadvantaged by the selection of mathematics subjects, and improvements in the completion path and subject composition should be made.
Ⅰ. 서론
Ⅱ. 고교 교육과정과 대입 정책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