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대한수학교육학회-학교수학a.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학교 3학년 일반 학급 대상 온라인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 수업 참여의 특징 분석

Analyzing How 9th Grad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Online Mathematics Lessons

DOI : 10.29275/sm.2021.09.23.3.433
  • 40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3학년 일반 학급 학생들이 온라인 수학 수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대면 수업과 차별화되어 나타나는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생 수업 참여 모습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에서는 온라인 수업의 특징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본 연구의 수업 설계에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첫째, 학생들이 채팅을 이용한 서면 상호작용에 익명으로 참여하도록 하였으며, 여러 인터넷 사이트와 통그라미 등의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이러한 상호작용과 매체의 활용이 가능한 수학적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자원의 활용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은 실제적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지원하였다. 둘째, 서면 상호작용과 다중 상호작용은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여러 모둠에서 진행된 수학적 논의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교사의 지원을 확대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수학적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셋째, 익명화된 수업 참여는 수업 참여도의 변화와 함께 수학적 아이디어 중심의 논의를 강화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9th grade students participate in their online mathematics lessons implemented in school mathematics. We especially focused on the differentiated features that appear when students participate in online mathematics lessons. We identified various features provided by online lessons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designed lessons based on these features as follows. Students could participate in lessons through written interactions based on anonymity, visit and use various internet sites and software such a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d participate in multi chat rooms. We had designed lessons that require these interactions and the utilization of online resour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arious online resources such as Tong-Gramy and interactions with peers supported students to collect and analyze the authentic data. Second, written interaction and multi-logue allowed students to get out of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provided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mathematical discussions performed in other groups. Written interaction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and mathematical thinking through expanding teacher’s support. Third, the anonymity promot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interactions more actively and strengthened the discussions focused on the mathematical ideas.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