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정서적 경험 도시숲 산림 치유 프로그램이 중년 성인의 감정조절 및 건강증진 행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motional-Oriented Intervention Urban Forest Healing Program on Emotional Control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iddle-Aged Adults

  • 192
상담심리교육복지 10권2호.jpg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에서의 지속적인 산림치유프로그램 참여가 중년 성인의 감정조절 및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57명을 대상으로, 실험군(30명)은 12주간산림치유프로그램에서 매회기마다 산림치유와 관련된 활동을 했으며, 대조군(27명)은 비실험 집단으로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일상생활을 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은 숲에서의 정서적 경험을 높이기위한 명상 산책, 오감 활용 정서 경험, 내적경험 등이었다. 연구결과, 첫째로 산림치유프로그램에참여한 사람은 프로그램 사후 감정조절 정도와 건강증진 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였고,대조군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로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프로그램사후에 감정조절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건강증진 행동 역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도시숲에서의 주기적인 산림치유프로그램 참여는 중년 성인에게 안정적인 정서적 경험과쉼을 제공하여 감정조절의 증진과 건강증진 행동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continuous Forest HealingProgram in urban forests on emotional control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ddle-agedadults. The study was conducted on 57 people, and the experimental group (30 people)conducted actual forest healing activities every session in the forest healing education programfor 12 weeks, and non-experimental group(27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lived daily lif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meditation walks, five senses utilizationemotional experience, and internal experiences to enhance emotional experiences in the fores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showed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no difference on control group in the degree of emotionalregula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fter the progra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participating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emotional controlafter the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also significantlyhigher.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periodic forest healing activities in urban forests wereeffective in enhancing emotional control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providing stableemotional experiences and rest to middle-aged adul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